|
신문은 선생님
-
- [알려드립니다]
-
1월 22일자 '교과서 여행' 기사
2014.01.23 (목)
-
1월 22일자 '교과서 여행' 내용 중 낙안읍성은 1424년 흙담을 돌로 고쳐 쌓기 시작하였으며, 1626년 군수로 부임한 임경업 장군은 이를 보수·개축한 것입니다.
-
-
-
- [개념쏙쏙! 수학]
-
게임 속에도 수학이 숨어있다?
2014.01.22 (수)
-
"아빠, 숙제 다 끝냈는데, 잠깐 게임 좀 해도 될까요?""그러렴. 너무 오래 하지만 않으면, 게임은 기분 전환이나 두뇌 발달에 도움 되니까.""제가 하는 게임은 1~2분이면 한 판이 끝나서 오래 하지 않아요.""그..
김은숙
-
-
-
- [교과서 여행]
-
관아 94곳, 옛 집 218채… 이 마을은 살아있는 민속촌
2014.01.22 (수)
-
옛날 사람들이 살던 마을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 궁금증을 풀기에 가장 좋은 곳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낙안읍성입니다. '읍성(邑城)'이란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주민을 보호하고자 마을 전체를 빙 둘러 쌓..
임후남
-
- [안진훈의 창의력 노트]
-
고지식한 아이, 사회성 길러주면 아인슈타인처럼 될 수 있어요
2014.01.21 (화)
-
네 번째 뇌 유형은 '좌우뇌형'입니다. 늦가을 찬 서리를 맞고 피는 국화처럼 대기만성형입니다. 어릴 때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않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공부를 점점 더 잘합니다. 특히 사고력과 분석력이 좋아서 보통 이..
-
- [알립니다]
-
'기자체험 프로그램'으로 신문·방송 기자 되어볼까
2014.01.21 (화)
-
조선일보는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해 '1일 기자체험'을 실시합니다. 학생들은 조선일보 광화문 본사와 흑석동에 있는 '조선일보 뉴지엄(Newseum: news와 museum의 합성어)'을 오가며 신문·방송..
-
-
-
- [상식숙쑥 역사]
-
혼례상엔 '다산(多産)' 제사상엔 '재물' 기원하며 명태 올렸대요
2014.01.21 (화)
-
'명태'라는 생선 이름은 어떻게 생긴 것일까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유원이 조선과 중국의 사물을 고증(★)해 놓은 '임하필기(林下筆記)'라는 책에는 명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조선 인조임금 ..
지호진
-
-
-
- [재미있는 과학]
-
이름이 가장 많은 생선은?
2014.01.21 (화)
-
동태, 생태, 황태, 북어, 코다리, 노가리….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름이지요? 바로 우리 식탁에 자주 올라오는 생선 이름이에요. 동태와 생태로는 찌개를, 황태로는 찜을, 북어로는 국을 만들기 좋지요. 부르는 이름..
조영선
-
-
-
- [이슈토론]
-
찬성 "성별 제한하는 것은 시대 착오적" 반대 "모교 출신 총장은 아름다운 전통"
2014.01.21 (화)
-
이화여자대학교에도 남자 총장이 탄생할까요?올 상반기에 시행되는 제15대 이화여대 총장 선출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30일 이화여대 이사회가 총장의 자격 규정을 바꿨기 때문입니다. 이화여대는 제15대..
박준석 PD
-
-
-
- [자세히 알고 싶어요]
-
"인성 먼저 키워주니 논술은 따라오더라"
2014.01.21 (화)
-
"민서의 지식수준이나 말하는 게 아이답지 않아요. 비결이 뭐죠?"서울 용산 서빙고초등학교의 지난해 1학기 학부모 상담시간. 4학년 김민서군의 담임 선생님이 어머니 한윤경씨에게 질문했다."조선일보에서 하는 NIE 수업..
여원주 NIE팀장
-
-
-
- [고전을 읽읍시다]
-
"사느냐 죽느냐… 망설임이 사람을 비겁하게 만든다"
2014.01.20 (월)
-
※다음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 쓴 글입니다. 본문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을 말해보세요.햄릿: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가혹한 운명의 돌멩이와 화살을 맞으면서도..
김남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