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진훈의 창의력 노트
고지식한 아이, 사회성 길러주면 아인슈타인처럼 될 수 있어요
입력 : 2014.01.21 05:36
| 수정 : 2014.01.21 09:06
네 번째 뇌 유형은 '좌우뇌형'입니다. 늦가을 찬 서리를 맞고 피는 국화처럼 대기만성형입니다. 어릴 때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않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공부를 점점 더 잘합니다. 특히 사고력과 분석력이 좋아서 보통 이과가 적성에 맞으며, 특히 물리나 기계공학을 좋아합니다. 문과에서는 법학이 잘 맞습니다.
좌우뇌가 다 좋다 보니 모든 분야에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지식도 가리지 않고 다 빨아들이는 지적 블랙홀과 같습니다. 책 읽기를 아주 좋아하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원칙과 소신을 지키며, 자기 절제력도 뛰어난 편입니다. 반면에 지나치게 논리적이어서 따지기를 좋아하며, 소신이 매우 강해 다른 사람에 대해 비판적이기까지 합니다. 좌뇌의 과학과 우뇌의 예술을 동시에 좋아하는 아인슈타인과 같은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들과 인문 분야의 공자가 이 유형에 속합니다.
국화가 피기까지는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에 속이 이만저만 타는 것이 아닙니다. 아주 고지식하고 분위기 파악을 못하며,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 대화가 잘 안 되는 답답한 스타일입니다.
또 직선적이어서 상대방에게 상처를 잘 주고, 자기도 상처를 잘 받으며, 어디 가더라도 바른말을 잘하는 스타일입니다. 어릴 때는 사회성이 떨어져 따돌림을 당할 가능성도 많습니다.
좌우뇌가 다 좋으면 좌우뇌의 성향이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어릴 때 그 정도가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뇌의 감을 사용해야 할 때 좌뇌를 써서 쓸데없이 따지고, 반대로 좌뇌를 써야 하는 일에는 우뇌의 감으로 대충 처리하는 것이 바로 좌우뇌 완전충돌입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완전 충돌에서 부분 충돌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분위기를 파악하는 능력이 점점 좋아지고, 사회성에도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지게 됩니다.
좌뇌를 쓸 때 좌뇌를 쓰고, 우뇌를 쓸 때 우뇌를 쓰도록 잡아주어야 합니다. 생활 속 잔소리를 많이 해주는 동반자가 있거나 공간지각력이 좋아서 현실적인 판단을 잘하는 우뇌형이 팀을 이뤄야 큰일을 해낼 수 있습니다. 리더십, 사회성, 소통과 관련된 서적을 많이 읽어서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 것이 좋습니다.
MSC브레인컨설팅 대표
좌우뇌가 다 좋다 보니 모든 분야에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지식도 가리지 않고 다 빨아들이는 지적 블랙홀과 같습니다. 책 읽기를 아주 좋아하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원칙과 소신을 지키며, 자기 절제력도 뛰어난 편입니다. 반면에 지나치게 논리적이어서 따지기를 좋아하며, 소신이 매우 강해 다른 사람에 대해 비판적이기까지 합니다. 좌뇌의 과학과 우뇌의 예술을 동시에 좋아하는 아인슈타인과 같은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들과 인문 분야의 공자가 이 유형에 속합니다.
국화가 피기까지는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에 속이 이만저만 타는 것이 아닙니다. 아주 고지식하고 분위기 파악을 못하며,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 대화가 잘 안 되는 답답한 스타일입니다.
또 직선적이어서 상대방에게 상처를 잘 주고, 자기도 상처를 잘 받으며, 어디 가더라도 바른말을 잘하는 스타일입니다. 어릴 때는 사회성이 떨어져 따돌림을 당할 가능성도 많습니다.
좌우뇌가 다 좋으면 좌우뇌의 성향이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어릴 때 그 정도가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뇌의 감을 사용해야 할 때 좌뇌를 써서 쓸데없이 따지고, 반대로 좌뇌를 써야 하는 일에는 우뇌의 감으로 대충 처리하는 것이 바로 좌우뇌 완전충돌입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완전 충돌에서 부분 충돌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분위기를 파악하는 능력이 점점 좋아지고, 사회성에도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지게 됩니다.
좌뇌를 쓸 때 좌뇌를 쓰고, 우뇌를 쓸 때 우뇌를 쓰도록 잡아주어야 합니다. 생활 속 잔소리를 많이 해주는 동반자가 있거나 공간지각력이 좋아서 현실적인 판단을 잘하는 우뇌형이 팀을 이뤄야 큰일을 해낼 수 있습니다. 리더십, 사회성, 소통과 관련된 서적을 많이 읽어서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 것이 좋습니다.
MSC브레인컨설팅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