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속의 한국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광개토대왕 "고구려는 천하의 중심… 독자 연호 쓰라"
2017.10.17 (화)
-
'영락', '건원', '천통', '수덕만세' '천수', '광무', '융희'…. 무슨 이름일까요? 모두 우리 역사를 이루었던 왕조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했던 연호(年號)를 일컫는 이름이에요. 연호란 왕이 다스리는 군주 국..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일본식 개명·한글 사용 금지… 탄압에도 '우리말' 지켰죠
2017.10.10 (화)
-
오늘은 길었던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이자 훈민정음 반포 571돌을 기념하는 한글날이에요. 1443년 우리글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은 1446년 이를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 배우게 했어요. 훈민정음은 1913년 무렵..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우산국 정벌한 이사부, 신라의 삼국통일 초석 놓았죠
2017.10.03 (화)
-
최근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 해양과학조사선 '이사부함'의 이름을 문제 삼아 양국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를 막았다는 보도가 나왔어요. 우리나라 해양 과학자들이 일본 과학자들에게 이사부함에서 함께 해양연구를 하자고 제안했지..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양반이 군대 가기 싫으면 남에게 돈 주고 대신 보냈어요
2017.09.26 (화)
-
최근 정부가 연예인·운동선수·고위 공직자·고소득자 자녀 등이 군대에 갔는지, 가지 않았다면 왜 가지 않았는지를 별도로 따져 점검하는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만 18세 이상 남성이라면 누구나 군..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민족주의·사회주의 생각 달라도… '독립' 위해 뭉쳤죠
2017.09.19 (화)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에 있는 교남 YMCA회관 건물은 일제강점기 시절 3·1독립운동을 펼친 민족 지도자들이 모였던 곳이에요. 또 물산장려운동, 신간회 운동 등 여러 민족운동의 터전이 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죠. 그..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조선 밤하늘 기록 2만개… 현대 과학의 소중한 단서죠
2017.09.12 (화)
-
최근 과학계에서 조선시대 천문학의 우수성이 입증됐다는 반가운 뉴스가 있었어요. 지난달 30일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미카엘 샤라 박사 연구진이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한국의 천문학자들이 1437년 3월 1..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일본에 조선붐 일으킨 '한류의 원조'
2017.09.05 (화)
-
얼마 전 조선통신사 행렬이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재연돼 일본과 우리나라 참가자들이 축제 행렬을 펼쳤어요. 조선통신사는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이에요. 조선시대 한양에서 출발한 통신사는 부산과 쓰시마섬, 시모노세..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1500년 전 무덤에서 달걀이 나온 까닭은?
2017.08.29 (화)
-
'살충제 달걀 파동'으로 우리 사회가 최근 몸살을 겪었어요. 안심하고 달걀을 먹어도 되는지 아직도 사람들은 불안해하고 있죠. 우리 식탁에서 널리 사랑받는 달걀의 운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걱정이에요. 지금으로부터 4..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책을 사랑한 임금 정조, 병풍에도 책장 그려 넣었죠
2017.08.22 (화)
-
미국 오하이오주(州) 클리블랜드미술관에서 '책거리'라는 우리 옛 그림이 전시되고 있어요. 미술관 전시 기획자들은 물론 일반 관람객들의 눈길과 관심이 쏠리고 있대요. 책거리 그림 전시는 이미 작년 가을 뉴욕과 올봄 캔..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조선의 지도 제작 기술, 세계 최고 수준이었어요
2017.08.15 (화)
-
131년 전인 1886년에 일본이 독도를 자기 영토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구체적 자료가 발견됐어요. 한철호 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당시 일본의 지리 교과서 '신찬지지(新撰地誌)'의 아시아 지도에 울릉도..
지호진 어린이 역사저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