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벼슬 높은 친척 만나기만 해도 벌 받았어요 2016.10.25 (화)
이른바 '김영란법(청탁금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한 달 가까이 되었어요. 이 법으로 접대 자리가 사라지면서 부정한 청탁이 줄어드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말이 ..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허황옥·이지란… 우리 역사에도 이름 남긴 이민자 많았죠 2016.10.17 (월)
올해 노벨상 수상자 총 11명 중 6명(물리학상 3명·경제학상 2명·화학상 1명)은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미국 대학에 소속된 이민자(자기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로 이주하여 사는 사람) 출신..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서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한글이 모방글자? 발음기관 본떠 만든 독창적 문자 2016.10.10 (월)
어제(9일)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어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한글날이었어요. 올해로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딱 570년이 되었답니다. 그런데 최근 "한글이 몽골의 파스파문자를 참고해 만든 문자"라는 연구 결과가.. 윤형덕 하늘고 역사 담당 교사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김씨 성만 1069만명… 성씨는 언제부터 전해졌을까 2016.10.03 (월)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총 5582개의 성씨가 있다고 해요. '김(金)'씨 성을 가진 사람이 1069만명(전체 인구의 21.5%)으로 가장 많았고, '이(李)'씨 성..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바다의 왕 장보고… 동아시아 사로잡은 '원조 한류 스타' 2016.09.26 (월)
'K팝'을 앞세운 한류 열풍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어요. 일본과 중국,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은 물론 중동과 남미, 유럽에서도 한국 아이돌 가수의 인기가 대단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드라마와 영화도..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모병이냐 징병이냐… 선조들은 어떻게 했을까 2016.09.19 (월)
최근 우리 군대를 구성하는 일반 병사들을 징병제(徵兵制)가 아닌 모병제(募兵制)로 뽑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찬반 여론이 나뉘고 있어요. 징병제란 국가가 법률에 따라 국민에게 병역의무를 부과해 군인으로 복무하기에..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17만 백성의 소리 담아 새로운 '세법' 마련했어요 2016.09.12 (월)
얼마 전 국회에서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있었어요. 인사청문회는 대통령이 내정한 장관 후보자들이 고위 공직자로서 적합한지 검증하는 자리랍니다. 고위 공직자로서 적합하지 못했던 언행이 드러날 경우 여론의 비판.. 지호진 어린이 역사 서술 전문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세쌍둥이가 태어나면 곡식을 내리거라" 2016.09.05 (월)
지난달 17일 충북 청주에서 네쌍둥이가 태어나 각계각층에서 축하 인사가 쏟아졌어요. 네쌍둥이를 낳은 부모에게 분유와 출산용품을 지원하겠다는 회사도 있었고 격려금을 준 병원도 있었죠. 네쌍둥이가 태어날 확률은 100만..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청룡기'가 우리나라 국기 될 뻔 했대요 2016.08.29 (월)
1910년의 오늘(8월 29일)은 우리가 제국주의 일본에 국권을 강제로 빼앗긴 날이에요. 국가가 치욕을 당한 날이라는 의미에서 '국치일'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그날 이후 국권을 되찾기 위해 수없이 많은 의사와 열사.. 윤형덕 하늘고 역사 담당 교사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조선시대 '한글 명필'은 왕비 모신 궁녀였어요 2016.08.22 (월)
교육부가 내년부터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한글 교육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어요. 한글 쓰기 공부와 읽기 교육을 두 배로 늘리고, 특히 '악필(惡筆)'인 어린이를 줄이기 위한 글쓰기 교육을 늘릴 거라고 합니다..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