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사진으로 보는 세계]
빙하기 때 북동아시아인, 걸어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어요 2014.09.15 (월)
사진 속 얼음과 눈이 켜켜이 쌓인 곳은 바로 남극이에요. 상상할 수 없는 혹한은 그 누구의 발길도 허락할 것 같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남극에는 오래전에 살았던 인간의 흔적이 남아 있어요. 1980년대 남극에.. 사진=한성필
[뉴스 속의 한국사]
고려시대는 왜 불교 유물이 많을까? 2014.09.15 (월)
지난달 말 서울 도봉산 기슭에서 고려 초기의 국보·보물급 불교 유물들이 우르르 출토됐어요. 그중에 금강저(金剛杵)와 금강령(金剛鈴)이라는 유물이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지요. 둘 다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로, 금강저.. 지호진
[미술관에 갔어요]
오늘 밤, 상상의 세계로 모험 떠나요 2014.09.12 (금)
여러분이 지금보다 더 어릴 땐 엄마 아빠의 자장가를 들으며 포근하고 기분 좋게 꿈나라에 갔을 거예요. 자장가에는 장미꽃도 나오고, 달님도 나오고, 새와 새끼 양도 나와서 여러분을 행복한 꿈으로 이끌어 주지요. 꿈속 .. 이주은
[그림으로 보는 자연]
차례상에 첫째로 올리는 대추… 큼직한 씨는 왕을 뜻해요 2014.09.11 (목)
추석에 차례를 지냈다면, 기억을 더듬어 곰곰이 생각해 보렴. 차례상에 어떤 음식이, 어느 자리에 있었는지 기억나니? 송편, 전, 과일 등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은 모두 서로 다른 의미를 가졌단다. 그래서 종류와 자리가.. 박윤선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한 해 중 가장 좋은 날, 달님께 소원 빌며 강강술래 2014.09.11 (목)
모두 추석 잘 보냈나요? 맛있는 송편도 빚고, 오랜만에 만난 사촌들과도 신나게 뛰어놀았지요? 추석은 설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이에요. 음력 8월 15일에 한 해 동안 농사지은 곡식으로 조상께 감사 인사를 드.. 이태화
[세상을 바꾼 리더]
편견과 어둠 속에서도 절망 않고… 체계적인 점자 직접 만든 맹인 2014.09.11 (목)
만약 눈이 보이지 않는다면 어떨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의 얼굴을 볼 수 없고, 원하는 곳에 자유롭게 가기도 어려울 거예요. 또 무언가를 새로 배우기도 무척 어렵고, 책을 읽을 수도 없겠지요... 김선영
[개념쏙쏙! 수학]
'수퍼문'은 왜 커 보일까? 2014.09.11 (목)
지난 추석에 가족들과 둥근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나요? 추석에 뜬 보름달은 크기가 가장 작을 때보다 13~14% 정도 큰 '수퍼문(super moon)'이었다고 해요. 종혁이는 매달 뜨는 보름달이 왜 갑자기 커 .. 이충국
[책으로 보는 세상]
잔인한 침략자 화성인, 혹시 우리의 모습 아닐까요? 2014.09.10 (수)
여러분은 외계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믿나요? 인류는 오랫동안 이 문제를 두고 논쟁을 벌였습니다.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고 외계에서 오는 전파를 분석하기도 하지요. 한발 더 나아가 .. 최혜정
[교과서 여행]
르네상스 꽃피운 아름다운 도시… 메디치家, 300년간 문화·경제 이끌어 2014.09.10 (수)
어떤 분야가 크게 발전하거나 인기를 끌 때 비유적으로 '○○의 르네상스'라는 표현을 씁니다. 예컨대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라고 하면, 좋은 한국 영화가 많이 만들어져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뜻이지요. 원래 '르네상.. 황수진
[숨어있는 세계사]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열리는 '수요집회'… 어느덧 23년째 2014.09.05 (금)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주 수요일이면 어김없이 거리로 나서는 할머니들이 있습니다. 1992년 1월 8일 시작된 이 집회는 어느새 1142회를 넘기며 세계에서 가장 장기적으로 열린 집회가 되었어요. 할머니들이 향하는 .. 공미라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