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2019 U-20 월드컵 결승전 열린 도시… 100년 전 섬유 메카, 지금은 할리우드 2019.06.19 (수)
지난 16일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 선수들이 맞붙은 U-20 월드컵 결승전이 폴란드 우치(Łódź)에서 열렸습니다.결승전이 열린 우치는 폴란드 중부에 있는 우치주(州)의 주도예요. 바르샤바, 크라쿠프에 이어 폴란드 제.. 박의현·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김경일의 심리학 한토막] 라이벌, 단기적으로 도움… 장기전에선 피로감 늘려 오히려 독 2019.06.19 (수)
때로 사람들은 특정한 인물을 라이벌로 생각하며 그 상대방을 이기고 싶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노력합니다. 그런데 이 라이벌 의식은 정말 큰 더 나은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을 줄까요?심리학자들의 대답은 '그렇기도 하고 그렇.. 김경일·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단어] 타이거 맘 2019.06.19 (수)
'A 이하 성적을 받아선 안 된다. 수학에서 동급생들보다 두 학년은 앞서 가야 한다. TV 시청과 비디오게임은 절대 금지. 피아노·바이올린 이외의 악기는 연주하지 말 것. 친구 집에서 자고 오지 말 것….'중국계 미.. 양지호 기자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대한민국 임정의 군대, 美와 훈련하며 '국내 진공 작전' 세워 2019.06.18 (화)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됐던 '광복군(光復軍·정식 명칭은 한국광복군)'에 대한 이야기가 요즘 들어 많이 나오고 있어요.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됐던 광복군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였고, 미군과 연합해 국내..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시간 흐른 뒤 다시 집어든 고전… 미처 보지 못했던 것들이 보였다 2019.06.18 (화)
다시 읽은 고전김경집 지음|학교도서관저널|272쪽|1만5000원'고전'이라고 분류되는 책들이 있어요. 세상에 나온 지 아주 오래된 책들이죠. 많은 사람이 고전을 읽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솔직히 고전을 읽으면서 재미를.. 김성신·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최의창의 스포츠 인문학] 경쟁자끼리도 번갈아 바람 막아주며… 에너지 95%까지 절약 2019.06.18 (화)
지난 16일 '투르 드 코리아 2019'가 5일간 605.2㎞를 달리는 대장정을 마쳤어요. 군산에서 출발해 천안, 단양, 삼척, 고성을 거쳐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마무리되는 코스였죠.이런 형식의 장거리 도로 사이클은 .. 최의창·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숫자] 2250만 2019.06.18 (화)
지난 13일 이란 주변 호르무즈해협 인근에서 일본 회사 유조선과 노르웨이 회사 유조선이 각각 어뢰와 기뢰 공격을 받았어요. 지난달 12일에도 배 4척이 공격을 받았죠. 미국은 이란이 선박을 공격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 양지호 기자
[신문은 선생님]
[이주은의 미술관에 갔어요] 세 팀이 축구 시합하면? 재미난 상상으로 反戰 외치다 2019.06.15 (토)
해마다 6월이면 우리는 이 땅에 전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운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와 더불어 다시는 끔찍한 전쟁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다짐하곤 하지요. 오늘 소개할 예술가는 .. 이주은·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새먼의 국제뉴스 따라잡기] 노르망디 상륙 직후… 소련, 연합군 17배 병력으로 나치 공격 2019.06.14 (금)
1944년 6월 6일 나치 독일 치하에서 4년간 암흑기를 보낸 서유럽에 빛이 돌아왔어요. 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인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실시된 디데이였어요.날이 밝기 전 낙하산 부대가 캄캄한 어둠 속 비행기에서 뛰.. 앤드루 새먼·아시아타임스 동북아 특파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아프리카, '흑인·더위'만 떠오르나요? 미지의 대륙이 가진 다채로운 이야기 2019.06.14 (금)
오색찬란 아프리카는 검지 않아전현정 글|구은선 그림|사계절|52쪽|1만4500원'아프리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색이 먼저 생각나세요? 검은색이겠죠. 아프리카 주민들은 피부색이 검으니까. 그리고 황토색. 사막이 많.. 박사·북칼럼니스트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