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김경일의 심리학 한토막] 라이벌, 단기적으로 도움… 장기전에선 피로감 늘려 오히려 독
입력 : 2019.06.19 03:05
라이벌 의식
때로 사람들은 특정한 인물을 라이벌로 생각하며 그 상대방을 이기고 싶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노력합니다. 그런데 이 라이벌 의식은 정말 큰 더 나은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을 줄까요?
심리학자들의 대답은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건데요. 이게 무슨 뜻일까요?
벤저민 컨버스(Converse) 버지니아대 심리학과 교수는 라이벌의 의미와 기능을 연구해 온 대표적인 심리학자입니다. 그가 2016년 내놓은 논문에 따르면 라이벌은 '업적 관심(legacy concern)'을 자극합니다. 업적 관심이란 내가 지금 하는 일이 미래에 어떻게 기억되는가에 대한 관심을 뜻하죠. 라이벌이 없을 때보다 라이벌이 있을 때 향후 내가 남긴 업적이 어떻게 평가받게 될지를 더 신경 쓰게 되고, 그 결과 더 뛰어난 업적을 남기기 위해 뭐든 더 열심히 하게 된다는 겁니다. 이 논리대로라면 일에서, 공부에서, 스포츠 경기에서 더 좋은 결과가 나오겠죠.
심리학자들의 대답은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건데요. 이게 무슨 뜻일까요?
벤저민 컨버스(Converse) 버지니아대 심리학과 교수는 라이벌의 의미와 기능을 연구해 온 대표적인 심리학자입니다. 그가 2016년 내놓은 논문에 따르면 라이벌은 '업적 관심(legacy concern)'을 자극합니다. 업적 관심이란 내가 지금 하는 일이 미래에 어떻게 기억되는가에 대한 관심을 뜻하죠. 라이벌이 없을 때보다 라이벌이 있을 때 향후 내가 남긴 업적이 어떻게 평가받게 될지를 더 신경 쓰게 되고, 그 결과 더 뛰어난 업적을 남기기 위해 뭐든 더 열심히 하게 된다는 겁니다. 이 논리대로라면 일에서, 공부에서, 스포츠 경기에서 더 좋은 결과가 나오겠죠.
- ▲ /게티이미지뱅크
컨버스 교수 연구진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미식축구팀을 고르라고 했어요. 그리고 그 팀의 최고 라이벌팀을 이기기 위한 전략과 라이벌팀은 아니지만 다른 리그 강호를 이기기 위한 전략도 짜보라고 했지요. 그러자 사람들은 일반적인 강팀과 붙을 때보다 라이벌팀과 붙을 때 훨씬 공격적인 전략을 짰어요.
라이벌 의식이 강하면 공격적으로 목표를 추구해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만, 그와 동시에 심사숙고하며 안정감 있는 전략을 추구하지는 못하는 거죠. 즉 라이벌 의식이 자극되면 '잠시 숨 고르며 차분히 기다려보자'는 의견보다는 '내친김에 치고 나가자'라는 의견이 더 강해진다는 겁니다. 살다 보면 잠시 기다리며 상황을 지켜봐야 할 순간도 있는데, 그러지 못해 실책이 생긴다는 겁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짧은 기간에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라이벌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이를테면 다가오는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것처럼요. 경쟁자 A보다 더 좋은 성적을 올리겠다며 더 열심히 준비할 수 있죠.
그러나 수험 공부, 박사과정 공부 같은 장기전에서 이런 라이벌 의식은 도리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기나긴 레이스 과정인데, 초반에 과도한 공격성을 보이면서 에너지가 먼저 소진될 수 있거든요. 정신적 피로감만 늘어나면서 정작 치밀한 계획은 세우지 못할 수 있어요. 라이벌을 이겨야 한다는 생각에 스트레스가 쌓여 집중력이 떨어질 수도 있고요. 장기전에서는 '이길 대상'인 라이벌보다 '본받을 대상'인 롤모델을 설정하는 게 더 도움이 되는 이유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