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학자·스님부터 세종의 자녀들까지 총출동해 한글 연구
2019.07.16 (화)
-
세종대왕(재위 1418~1450)이 한글을 창제한 과정을 다룬 영화가 개봉을 앞두고 있어요.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사뭇 다른 이야기를 그린다고 해서 관심을 모으고 있죠. 한글 창제 과정에 대한 최신 연구 중에는 일..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왜 사는가' 매일 고민하던 고래 모모… 몸을 내던진 모험에서 깨달은 것은?
2019.07.16 (화)
-
혹등고래 모모의 여행류커샹 글·그림|하은지 옮김|더숲|260쪽|1만3000원최근 일본이 상업적인 목적의 고래잡이를 31년 만에 다시 시작했어요. 국제사회는 일본의 이번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어요. 여전히 몇몇 고..
김성신·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최의창의 스포츠 인문학] 원주민 수영법 배워와 기록 경신… 물 사이 기어간다는 뜻
2019.07.16 (화)
-
지난 12일부터 광주에서 2019 국제수영연명(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열리고 있어요. 오는 28일까지 경영, 다이빙, 수구 등 크게 6가지 종목에서 참가자 6000여명이 승부를 겨룹니다.특히 얼마나 빨리 헤엄..
최의창·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143
2019.07.16 (화)
-
1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작년 한 해 동안 세계 각국이 발사한 우주로켓을 헤아려보니 모두 128기였다고 집계했어요. 역대 최고치는 1967년 143기였습니다. 냉전 시기 미국과 옛 ..
양지호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주은의 미술관에 갔어요] 전후 프랑스 최고 인기 화가… 그림 속 그는 쓸쓸한 광대
2019.07.13 (토)
-
많은 사람 앞에서 우스꽝스럽게 분장하고 나와서 부끄럼을 무릅쓰고, 때로는 다칠 위험까지도 무릅쓰고 재주를 부리는 사람을 광대라고 부릅니다. 빨간 코에 빨간 머리, 새하얀 얼굴, 길게 찢어진 커다란 입의 광대는 현실 ..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인공지능은 축복? 감정은 있을까? 함께 머리 맞대어 답을 찾아나가요
2019.07.12 (금)
-
인공지능 논쟁|오승현 글|이경국 그림|풀빛|176쪽|1만2000원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것은 호기심과 두려움을 함께 불러일으킵니다. 인공지능(AI) 또한 그렇죠. 더구나 인공지능은 인류를 멸망시킬지도 모른다는 경고를..
박사 북칼럼니스트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25억4300만
2019.07.12 (금)
-
전국우정노조가 집배원을 늘려달라며 사상 최초로 파업을 예고했다 가 철회했어요. 이들이 파업하면 우리나라 택배시장 점유율 4위(약 8%) 업체인 우체국택배도 업무에 큰 차질을 빚었겠죠. 우체국택배는 군부대, 도서지역을..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7월, 화려한 꽃이 지면 '모르핀' 성분 든 열매가 맺히죠
2019.07.12 (금)
-
아름답고 매혹적인, 하지만 한 나라에 분란을 일으켜 파멸을 불러일으켰던 당나라 후궁에게서 이름을 따온 식물. 이름만큼이나 아름다운 꽃을 피우지만, 그 열매에서 추출한 즙으로 마약(痲藥) 아편을 만들 수 있는 식물.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심리학이야기] 중요한 선택, 아침에 해야… 오후엔 지쳐서 대충 결정한대요
2019.07.12 (금)
-
'결정 장애'라는 말, 다들 들어보셨을 거예요. 뭔가를 결정해야 할 때 좀처럼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걸 뜻하죠.사실 선택은 힘든 일이에요. 정신적 에너지를 엄청나게 소모하는 일이거든요. 그래서 중요한 ..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뜨거운 물 뿜는 바닷속 굴뚝… 생명 탄생의 장소로 추측
2019.07.11 (목)
-
우리나라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오는 9월 심해탐사에 나서기로 했어요. 많은 사람이 바다로 놀러 가는 계절이지만 사실 바다엔 아직 인간이 모르는 미지의 공간이 훨씬 많아요. 특히 수심 수천m에 달하는 심해는 수압 ..
안주현 박사·서울 중동고 과학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