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주은의 세계의 박물관] '아비뇽의 처녀들' '춤' 등 명화 10만여점 소장
2021.01.25 (월)
-
미술관은 유명한 미술품을 보기 좋게 진열하고 보관하는 장소에 그치지 않습니다. 미술 역사를 쓰는 곳이기도 하지요. 미술관은 걸려 있는 작품이 왜 중요하고 어떤 가치가 있는지, '이건 꼭 눈여겨봐 두세요'라고 우리에게..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화폐로 세상 읽기] 중남미 최초로 노벨문학상 받은 시인… 어린이 향한 따뜻한 사랑을 시에 담아
2021.01.25 (월)
-
칠레 5000페소(약 8150원·사진)에는 칠레의 시인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미스트랄은 라틴 아메리카 대륙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스웨덴 한림원은 노벨문학상 수여 사유로 "강렬한 감..
배원준 세계화폐연구소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세상을 바꾼 물건] 6·25 이후 서민 연료로 자리 잡아…日에서 들어온 '연꽃탄'이 기원
2021.01.25 (월)
-
추운 겨울 연예인들이나 정치인들이 연탄 배달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뉴스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도시에 사는 학생들은 실제로 보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아직 연탄으로 난방하는 집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실제로..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무분별한 개발이 불러온 생태계 오염… 바다 지키는 산호초 파괴 막아야 해요
2021.01.25 (월)
-
바닷속 유니콘 마을케이티 오닐 글·그림ㅣ심연희 옮김ㅣ보물창고ㅣ1만3800원미지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그곳에 가고 싶어집니다. 이 책은 경이로운 마법으로 가득 찬 바닷속 환상의 세계와 폭풍우 치는 바닷가 마을..
박사·북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고대 인도에서 처음 사용… 아라비아인들이 세계로 전파했어요
2021.01.21 (목)
-
우리는 수를 0부터 9까지 숫자로 나타냅니다. 정확하게는 인도-아라비아 숫자라고 하는데요. 나라마다 언어가 달라 수를 부르는 단어는 다르지만, 수를 나타내는 기호인 숫자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거의 유일한 공통의 ..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슈퍼 히어로도 화가 날 때 있어요… 분풀이 안 해야 진정한 영웅이죠
2021.01.21 (목)
-
슈퍼 히어로들에게도 재수 없는 날이 있다셸리 베커 지음|에다 카반 그림| 신형건 옮김|보물창고슈퍼맨, 원더우먼, 아이언맨, 캡틴 마블 등은 모두 초능력을 지닌 슈퍼 히어로입니다. 그들은 위기에 빠진 지구를 구하고,..
김성신 출판평론가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1만906
2021.01.21 (목)
-
자동차는 전통적으로 휘발유, 경유 등의 석유 연료로 동력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석유 연료가 내뿜는 가스는 환경을 오염하는 문제가 있었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소차, 전기차 등 친환경 원료를 이용한 자동차가 ..
최원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날개에 화려한 은백색 띠… 멸종위기였다가 금강에서 대규모 서식지 발견
2021.01.21 (목)
-
인간들 사는 곳이 넓어지고 논밭이 많아지면서 야생 생물들은 위협을 느끼고 있습니다. 영국 리즈대와 옥스퍼드대가 함께 연구해보니 인구가 늘면서 야생동물 1만7409종이 사는 곳을 잃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어요.그중에서..
최종윤 국립생태원 생태공간연구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차 한 잔에 부처 진리 있다"… '茶의 성인'으로 불렸죠
2021.01.21 (목)
-
최근 국립광주박물관이 박동춘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장으로부터 초의(草衣·1786~1866) 선사(승려의 높임말)와 관련된 고문서 등 169건을 기증받았다고 해요. 초의선사는 '한국의 다성(茶聖)'으로 추앙받는 분인데, ..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법학에세이] 억울한 사람 없도록 세 번까지 재판 보장해요
2021.01.20 (수)
-
재판은 쉽게 말해 법이 규정한 것에 따라 당사자들이 다툼을 벌이는 과정입니다. 재판은 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돈이 많이 들고 재판 과정이 길어지기 일쑤여서 재판을 받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힘든 일입니다. 그러니 가능하면..
곽한영 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