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83] '자그만치'와 '자그마치' 2021.03.10 (수)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 이야기를 들으며 기부의 꿈을 키워온 김봉진 배달의민족 창업자가 엄청난 재산을 기부했는데, 자그만치 5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최근 보도된 기사 일부입니다. 이 문장에서 잘못 쓴 낱말..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에밀레종' 소리의 전설은 왜 생겼을까요? 2021.03.10 (수)
국립경주박물관 앞뜰에 있는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神鐘)의 종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체험관이 최근 문을 열었습니다. 2004년 이후 성덕대왕신종을 치는 행사가 열리지 않았으니 17년 만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를 다시.. 기획·구성=최원국 기자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취한 로봇들이 축제를 벌이는 모습" 유연한 사고와 자유로움 표현했어요 2021.03.09 (화)
세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꼽히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는 1865년 미국에서 가장 먼저 건축학과를 만든 곳이기도 합니다. 미국 보스턴 인근 케임브리지에 있는 MIT 캠퍼스에는 건축 거장(巨匠)이 지은 건물이.. 전종현 디자인 건축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칠순 맞은 앨버트로스가 알 낳아… 몸집 큰 새가 더 오래 생존하죠 2021.03.09 (화)
"70년을 산 새가 지난 1월 알을 낳았다. 지난달에는 그 알을 깨고 새끼가 나왔다"고 미국 국립야생보호국이 밝혔어요. 이 새는 하와이 인근 야생동물보호지역에 사는 '라이안 앨버트로스'인데요. 앨버트로스는 '신천옹'.. 윤종민 박사·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미·소 우주 경쟁최첨단 화성 탐사 로봇은 왜 구식 컴퓨터를 쓸까요? 2021.03.09 (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로버(이동형 탐사로봇)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가 화성 땅에 착륙해 생명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지구를 떠나 6개월 반 동안 4억7000만km를 비행해 화성에 .. 김형자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세계의 박물관] 러시아 황제의 비밀 박물관… 소장품만 300만 점이래요 2021.03.08 (월)
미술계에서는 최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유산으로 남긴 미술품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는 모네, 르누아르, 피카소 등 세계적인 화가들의 작품을 수집했는데요. 이렇게 손꼽히는 미술 작품들로 국내에 미술관을 만들면 ..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영원히 변하지 않는 빛의 속도를 기준으로 1미터 정했어요 2021.03.08 (월)
국립고궁박물관이 조선 왕실 병풍 '요지연도'를 3월의 추천 왕실 유물로 선정했어요. 이 병풍은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인물인 서왕모가 신선들의 땅에서 연회를 베푸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요. 너비가 5m가 넘어 왕실..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굴착기처럼 땅 파고 구명복 기능까지… 새들이 깃털을 사용하는 16가지 방법 2021.03.08 (월)
멜리사 스튜어트 지음 l세라 S. 브래넌 그림 l이우신 옮김 l다섯수레 l 1만2000원새는 참 아름다운 동물입니다. 화려한 꼬리를 자랑하는 공작이나 알록달록한 앵무새 등을 떠올려 보세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박사 북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책 억지로 읽으면 독서에 흥미 잃어… 좋아하는 책부터 많이 읽는 게 좋아요 2021.03.04 (목)
공부의 고전에라스뮈스 외 지음|정지인 옮김출판사 유유|가격 1만7000원새 학기가 시작됐습니다. 여러분 모두 이번 학기에는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다짐을 했을 거예요.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요? 공부에 ..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초음파로 위치 확인… 서로 의사소통 가능해요 2021.03.04 (목)
얼마 전 세계보건기구(WHO) 조사단이 중국 현지 조사를 통해 야생에 서식하는 박쥐로부터 나온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겨왔다고 결론을 내렸어요. 박쥐는 수많은 바이러스들을 가지고 있어요. 무려 156종이나 된.. 윤광배 박사·국립생태원 서식지보전연구팀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