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국민당·공산당이 100여 년간 협력과 반목 거듭하고 있어요
2022.03.09 (수)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중국과 대만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어요. 중국은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며 대만을 수복해야 할 영토로 간주하고 있는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처럼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수 있..
정효진 양영디지털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 이야기] 고통 견디며 전쟁 치른 무수한 시민들… '역사 주체는 영웅 아닌 민중' 전했죠
2022.03.08 (화)
-
죽으러 가는 거예요. 말씀해주세요, 대체 뭐 때문에 그런 끔찍한 전쟁을 해야 하는 건지.1869년 출간된 러시아 출신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1828~1910)의 '전쟁과 평화'는 "우리 시대 가장 방대한 서사시이자 ..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본부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인류의 달 탐사, 120년 전 SF 영화에 등장했어요
2022.03.08 (화)
-
자동문, 3D 프린터, 아바타, 원자폭탄…. 서로 연관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발명품들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답니다. 과학소설·영화(SF)에서 아이디어가 먼저 등장했고 그 이후 현실에서 개발돼 사용됐다는 점이죠...
고호관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굳은살 박이고 남의 시선 따갑지만 작가로서의 꿈에 한발 더 다가갔죠
2022.03.07 (월)
-
저 청소일 하는데요?김예지 지음 l 출판사 21세기북스 l 가격 14000원이 책을 쓴 작가는 대학에서 디자인 공부를 하며 일러스트레이터를 꿈꿨어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직장에 여러 번 지원했지만 번번이 떨어졌습니..
서현숙 '소년을 읽다'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줄기 끝에서 90도로 꺾여 피는 꽃… '입학식 꽃다발'로 유명하대요
2022.03.07 (월)
-
새 학기 입학 기념 선물로 인기 있는 꽃다발이 있습니다. '새로운 시작을 응원한다'는 꽃말을 가진 '프리지어'인데요. 3월이 되면 프리지어는 둥글게 뭉쳐진 손가락 반 마디만 한 꽃봉오리 사이로 수술을 드러내며 꽃잎을..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클래식 따라잡기]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로 세계에 사랑과 평화 호소했죠
2022.03.07 (월)
-
러시아가 침공한 우크라이나 소식에 많은 이가 안타깝고 슬퍼합니다. 특히 러시아군의 집중 공략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제2의 도시 하르키우(하리코프)에서 우연히 촬영된 음악 영상이 슬픔을 더해줍니다. 지난달 24일 ..
김주영 피아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휴대전화 번호는 왜 네 자리 수가 많을까요?
2022.03.03 (목)
-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번호는 네 자리 숫자가 두 번 조합된 형태예요. 미국·캐나다·중국 등 주요 다른 나라의 전화번호 뒷자리 수도 네 자리고요. 왜 하필 네 자리 숫자로 만들까요? 이를 설명하는 흥미로운 수학적 가설이..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나이 들수록 짧게만 느껴지는 시간… 반복되는 일상이지만 소중함 찾아요
2022.03.03 (목)
-
어느 할머니 이야기조앤 슈워츠 지음 l 신형건 옮김 l 출판사 보물창고 l 가격 1만5000원'시간을 아껴라'는 말이 있어요.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똑같이 흐르고 붙잡을 수도 없는데, 대체 어떻게 아낄 수 있을..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충신 기려 제사 지내고, 체육관에서 대통령도 뽑았죠
2022.03.03 (목)
-
오는 9일은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에요. 우리나라는 지금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 직접선거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972년 유신 헌법 때부터 1987년 제6공화국 헌법 이전까지는 그럴 수가 없었..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232] '대가리'와 '머리'
2022.03.02 (수)
-
'반건조 생선을 자주 먹는 이들이 특히 즐겨 먹는 별미는 바로 대구 대가리!'한 TV 프로그램에서 이런 말이 흘러나왔어요. 그러자 평소 바른 우리말에 관심이 많은 친구가 "많은 사람이 시청하는 방송에서 대가리가 뭐야..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