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개념쏙쏙! 수학] 미로 찾기 안 풀리면 도착점에서 다시 시작해봐요
2015.09.24 (목)
-
"아. 또 막혔어. 이 미로 정말 복잡해…."용희는 수학책에 있는 미로 문제가 잘 안 풀어지자 머리를 긁적거리며 투덜댔어요."재미로 푸는 문제에 짜증을 내면 어떡하니?""그럼 아빠도 한번 풀어보세요.""어디 한번 해..
김은숙 어린이 수학 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 인물] 한국인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복… 국민을 울린 그의 '도전 정신'
2015.09.24 (목)
-
얼마 전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인 '매킨리(해발 약 6190m)'의 이름이 '데날리'로 바뀌었어요. 사실 데날리는 이 산의 원래 이름이었죠. 데날리에 자리 잡은 알래스카의 원주민들이 수천 년 동안 그렇게 불렀거..
구완회 작가·'재미있다! 한국사'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세계유산 탐방] 베트남 마지막 왕조의 수도, 전쟁으로 훼손됐지만 그 위용은 남아 있어
2015.09.23 (수)
-
최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가 시리아 고대 유적지 팔미라의 소중한 세계유산을 잇달아 파괴했어요. 바알샤민 신전과 벨 신전 등 2000년이 넘는 역사와 아름다운 문화를 간직했던 유산들이 훼손돼 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
-
- [신문은 선생님]
-
[책으로 보는 세상] 할머니 죽음 앞, 가족의 진짜 속마음은?
2015.09.23 (수)
-
어느 설문 조사 기관에서 수도권에 사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는 우리 사회에서 노인이 존경받는다는 의견은 6% 남짓에 불과했어요. 그러나 과거 공동체 사회에서 노인은 연륜을 지닌 지혜롭고 현명한 '어른..
양미연·한우리독서토론논술 선임연구원
-
-
-
- [신문은 선생님]
-
[부모와 함께하는 알자! 놀자! 금융] 친구 따라 '충동구매'한 물건 없는지 살펴보아요
2015.09.22 (화)
-
주말을 맞아 은서네 가족은 그동안 미뤄왔던 집 안 청소를 했어요. 아침부터 아빠, 엄마, 오빠, 은서 이렇게 네 식구는 집 안 구석구석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깨끗이 쓸고 닦았죠. 은서는 자신의 방을 청소하던 중 우..
KB금융공익재단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부모 담배 안 피워도, 아이가 담배 '害'에 노출될 수 있다고?
2015.09.22 (화)
-
시원하고 상쾌한 바람이 부는 가을, 창문을 활짝 열어 놓고 환기를 시키기 좋은 계절이지요. 그런데 요즘 마음대로 창문을 열 수 없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요. 그 이유는 바로 담배 연기 때문이지요. 올해 초 정부의 ..
조영선 과학 학습 도서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진으로 보는 세계] 걸어야 지킬 수 있어요… '깨끗한 지구'
2015.09.21 (월)
-
사진 속 눈부신 조명 아래로 낡고 푸른 자동차 한 대가 보이네요. 이곳은 패션과 문화의 중심지 프랑스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랍니다. 세계 최초 증기 기관으로 작동하는 자동차가 발명된 이곳 프랑스는 스스로 움직이는 탈것..
김옥선 용인 백현중학교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신라의 추석, 여인들이 '옷감 짜기' 바빴던 까닭은?
2015.09.21 (월)
-
설날과 함께 우리 민족 가장 큰 명절인 추석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어요. 추석은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쳤음에 감사드리고, 수확한 오곡백과로 조상의 묘소에 올라 차례를 지내며, 보름달 아래 모여 축제를 벌이는 날이에..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NIE]
-
[이슈토론] 전주 한옥마을 꼬치 가게
2015.09.18 (금)
-
전주 한옥마을에서는 꼬치에 문어와 오징어 등을 끼운 꼬치구이가 대표 음식으로 불릴 만큼 인기가 높습니다. 평일에도 관광객이 긴 줄을 서서 대기하는 모습이 눈에 띌 정도입니다. 꼬치구이의 인기에 대해 전주시 홈페이지 ..
이승철·NIE팀
-
-
-
- [신문은 선생님]
-
[미술관에 갔어요] 자유롭게 꿈꾸다, 한계·경계 없는 예술 속에서
2015.09.18 (금)
-
미술의 세계는 늘 자유로운 듯 보이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답니다. 여기에도 아무나 쉽게 흔들지 못하는 전통이 있고, 정해진 규범이 엄연히 존재하니까요. 새로운 시도를 해서 돌처럼 굳어진 과거의 생각을 뒤엎고, 많은 ..
이주은 교수(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