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한눈에 보는 경제' 코너 종료 안내
2015.03.10 (화)
-
그동안 화요일에 연재됐던 '한눈에 보는 경제' 코너가 막을 내렸습니다. 앞으로 화요일에는 법(法)을 쉽게 풀이해주는 '뉴스 속의 법 이야기'와 북한의 교육 이야기를 통해 북한 어린이를 이해하도록 돕는 '탈북 교사의 ..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진으로 보는 세계] 늘 똑같은 사물의 색깔, 눈이 아니라 뇌로 보고 있답니다
2015.03.09 (월)
-
최근 한 드레스 사진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어요. 사진 속 드레스가 사람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였기 때문이죠.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개인마다 색채 감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우리가 물체의 색을 감지하는 과정은..
사진=한성필(사진작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태극기, 지금 모양과 달라요
2015.03.09 (월)
-
지난달 25일 문화재청은 강릉 선교장에서 간직해 온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1900년대에 만들어진 강릉 선교장 태극기가 역사성과 희귀성이 매우 높다면서 말이지요. 선교장은 300여 년의 역사와..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신문은 선생님' 지면의 지난호 안내
2015.03.09 (월)
-
'신문은 선생님' 지면의 지난호는 프리미엄조선(premium.chosun.com) 사이트의 '신문은 선생님' 코너에 들어가면 보실 수 있습니다.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슈토론] 대학 학과제 폐지
2015.03.06 (금)
-
최근 중앙대학교가 2016학년도부터 개별 학과를 폐지하는 개혁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계획대로라면 개별 학과가 아닌 단과대학별로 신입생을 모집하게 되고, 학생들은 2학년 2학기에 주전공을 선택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강윤호·NIE팀
-
-
-
- [신문은 선생님]
-
[미술관에 갔어요] 아름다운 우리 산천, 그 옛 모습을 찾아서
2015.03.06 (금)
-
사진기가 없었던 300년 전,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치 좋다는 국내 유명한 곳의 모습을 그림을 통해 볼 수밖에 없었답니다. 그 시절 겸재 정선(1676~1759)의 그림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아주 좋았어요. ..
이주은 교수(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
-
-
- [신문은 선생님 키즈]
-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정월 대보름, 강강술래하며 달님께 소원 빌어요
2015.03.05 (목)
-
오늘은 음력설을 보낸 지 딱 15일째 되는 날이랍니다. 어떻게 아느냐고요? 오늘이 음력으로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이기 때문이죠. 달력에서 오늘 날짜를 찾아보면 3월 5일이라는 숫자 아래 작게 정월 대보름이라고..
이태화 어린이책 출판인
-
-
-
- [신문은 선생님 키즈]
-
[그림으로 보는 자연] 고소한 호두, 유럽에선 불에 던져 사랑점 쳤답니다
2015.03.05 (목)
-
정월 대보름에는 다양한 먹을거리 전통이 있어. 오곡밥과 9가지 나물 반찬을 먹지. 그리고 한 해 동안 이가 튼튼하고 아무 부스럼 없이 잘 지내라는 의미로 견과류를 깨무는 부럼 깨기를 해. 부럼을 깨는 대상은 날밤, ..
박윤선 생태 교육 활동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세상을 바꾼 리더] "인간의 정신 속엔 '무의식'이 있소" 정신분석학의 대담한 주장
2015.03.05 (목)
-
인간 내면에는 통제 가능한 의식의 세계뿐 아니라 '자신도 알 수 없는 정신세계'인 무의식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프로이트의 학설은 20세기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로 손꼽혀요. 프로이트의 이론은 정신 질환자에 대한..
박영진·후(who) 시리즈 위인전 편집인
-
-
-
- [신문은 선생님]
-
[개념쏙쏙! 수학] 냉장고 속 콜라랑 사과, 어떤 기준으로 나눌까?
2015.03.05 (목)
-
"엄마, 가위랑 풀 못 보셨어요? 아, 가위는 찾았는데 풀은 안 보여요.""아니 못 봤는데, 어디다 뒀어?""그게, 잘 기억이 안 나요."시우는 또 뭔가를 찾나 봅니다."용도별로 같은 서랍에 두면 좋았을 텐데. 따로..
이충국 · CMS에듀케이션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