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하늘 소용돌이 치는 '별이 빛나는 밤' 암울한 시기 창 너머 본 풍경 그렸죠 2021.03.15 (월)
빈센트 반 고흐루시 브라운리지 지음 l 에디트 카롱 그림 l 최혜진 옮김출판사 책읽는곰 l 가격 1만3000원빈센트 반 고흐라는 화가를 들어본 적 있나요? 그의 이름은 몰라도 그가 그린 그림은 본 적이 있을 거예요... 박사·북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3월 14일에는 원주율을 외워보세요 2021.03.11 (목)
3월 14일은 '화이트데이'입니다. 친구나 연인들이 사탕을 선물하며 좋아하는 마음을 전하는 날인데요. 수학자들에게 이날은 사탕을 주고받는 날이 아니라 '파이 데이'라는 특별한 날입니다. 파이 데이는 원주율(파이·π)..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어른들이 작아지면 우릴 이해할거야" 아이들의 고민·상상 동시에 소개해요 2021.03.11 (목)
거인들이 사는 나라신형건 지음|김유대·강나래·안예리 그림출판사 끝없는이야기|가격 1만 1500원"어른들을 거인국으로 보내자. 거인들 틈에 끼이면 어른들이 우리보다 더 작아 보일 거야."'거인들의 나라'에 나오는 동시..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150억t 화산재가 햇빛을 가려 한때 여름이 없어졌대요 2021.03.11 (목)
"결혼식이나 퍼레이드 등에 사용되던 사륜마차를 폼페이의 고대 별장에서 발굴했습니다. 이처럼 훌륭한 상태로 보존된 마차는 지금까지 없었습니다."이탈리아 폼페이고고학공원이 최근 폼페이 유적 발굴 사실을 알리며 "너비 9..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2000년 전 인도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왔어요 2021.03.10 (수)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 꽃".동요 '우리나라 꽃'에 나오는 가사입니다. 애국가에도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란 구절이 있죠. 가사처럼 무궁화(無窮花)는 우리나라의 상징인데요. 무궁화를 머릿속에 떠올려보세요. 흰..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83] '자그만치'와 '자그마치' 2021.03.10 (수)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 이야기를 들으며 기부의 꿈을 키워온 김봉진 배달의민족 창업자가 엄청난 재산을 기부했는데, 자그만치 5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최근 보도된 기사 일부입니다. 이 문장에서 잘못 쓴 낱말..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에밀레종' 소리의 전설은 왜 생겼을까요? 2021.03.10 (수)
국립경주박물관 앞뜰에 있는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神鐘)의 종소리를 들을 수 있는 체험관이 최근 문을 열었습니다. 2004년 이후 성덕대왕신종을 치는 행사가 열리지 않았으니 17년 만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를 다시.. 기획·구성=최원국 기자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취한 로봇들이 축제를 벌이는 모습" 유연한 사고와 자유로움 표현했어요 2021.03.09 (화)
세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꼽히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는 1865년 미국에서 가장 먼저 건축학과를 만든 곳이기도 합니다. 미국 보스턴 인근 케임브리지에 있는 MIT 캠퍼스에는 건축 거장(巨匠)이 지은 건물이.. 전종현 디자인 건축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칠순 맞은 앨버트로스가 알 낳아… 몸집 큰 새가 더 오래 생존하죠 2021.03.09 (화)
"70년을 산 새가 지난 1월 알을 낳았다. 지난달에는 그 알을 깨고 새끼가 나왔다"고 미국 국립야생보호국이 밝혔어요. 이 새는 하와이 인근 야생동물보호지역에 사는 '라이안 앨버트로스'인데요. 앨버트로스는 '신천옹'.. 윤종민 박사·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미·소 우주 경쟁최첨단 화성 탐사 로봇은 왜 구식 컴퓨터를 쓸까요? 2021.03.09 (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로버(이동형 탐사로봇)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가 화성 땅에 착륙해 생명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지구를 떠나 6개월 반 동안 4억7000만km를 비행해 화성에 .. 김형자 과학 칼럼니스트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