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알기 쉬운 법률] "공개된 법정서 유무죄 가려야"… 판사가 직접 증언 판단하죠 2024.12.18 (수)
2000년에 발생한 '약촌오거리 살인 사건'을 들어본 적 있을 거예요. 전북 익산에서 택시 기사가 흉기에 찔려 사망한 사건인데요. 당시 경찰은 목격자 최모(16)군을 용의자로 몰았고, 강압적인 수사로 자신이 범행을 .. 송민경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법관의 일' 저자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조선시대 땐 책 대여료가 하루치 쌀값… 보고싶은 소설은 베껴 썼대요 2024.12.17 (화)
최근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한국 문학이 세계에 알려지고 있어요. K팝에 이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한국 문학은 언제부터 역량이 쌓이기 시작한 것일까요? 사실 문학에 대한 우리의 열망은 조선 시대 때.. 이한 작가·'조선, 시험지옥에 빠지다' 저자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물총새·올빼미 닮은 日 신칸센… 동물의 몸 본떠 열차 소음 줄였죠 2024.12.17 (화)
일본이 자랑하는 고속철도 '신칸센'이 올해로 탄생 60주년을 맞이했어요. 1964년 도쿄 올림픽 개막에 맞춰 운행을 시작한 신칸센은 당시 시속 200㎞를 돌파하며 세계 최초로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습니다. 일본의 양대..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후추 알갱이보다 작은 초소형 카메라… 혈관 내부까지 찍죠 2024.12.17 (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는 그동안 상상만 했던 다양한 공간을 탐험할 수 있게 됐어요. 민간인들이 우주여행을 떠나고, 심해까지 잠수하는 기술들도 발전하고 있죠.최근 과학계에선 우주나 바다 깊은 곳 말고도 콩알보다 작은..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체코 대표 작가 '카렐 차페크'의 여행기… 100년 전 스페인의 열정적 모습 담았죠 2024.12.16 (월)
카렐 차페크 지음|박아람·이리나 옮김|출판사 휴머니스트|가격 1만7000원저 멀리 동유럽의 체코 출신 작가 이름을 대 보라고 하면 누가 떠오르나요? '변신'을 쓴 프란츠 카프카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저..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산울타리에 빽빽하게 달린 붉은 열매… 겨우내 새들 양식이죠 2024.12.16 (월)
요즘 공원이나 길거리에서 정말 붉은색 열매가 올망졸망 많이도 달린 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지름 5~6mm 정도로 작지만 많은 열매가 빽빽하게 달려 있다면 피라칸타(Pyracantha)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라칸다..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베토벤 '합창'·헨델 '메시아'… 연말 클래식 애청곡이죠 2024.12.16 (월)
연말이면 팝 가수 머라이어 케리의 히트곡 '올 아이 원트 포 크리스마스 이즈 유(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어김없이 울려퍼집니다. 30년 전인 1994년에 부른 곡인데도 지금도 성.. 김성현 문화전문기자
[신문은 선생님]
[생활 속 경제] 고가 브랜드 모방한 제품 사는 현상… 베끼기 경쟁 낳을 우려도 있죠 2024.12.12 (목)
Q. 요즘 '듀프 소비'가 유행한다는 기사를 봤어요. 이를 두고 지식재산권 침해가 우려된다는 의견도 있다고 합니다. 듀프 소비는 무엇이고, 왜 우려가 나오고 있는 건가요?A. 듀프는 복제를 뜻하는 영단어 '듀플리케이.. 김나영 서울 양정중 사회과 교사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가족 떠나 방황하던 '골칫덩이 소녀'… 동물 친구들과의 모험을 통해 성장해요 2024.12.12 (목)
까미유 주르디 지음|윤민정 옮김|출판사 바둑이하우스|가격 2만5000원주인공 소녀 '조'는 갑자기 달라진 가정 환경에 힘든 시기를 보내요. 부모님이 이혼한 것도 충격적인데, 아버지가 재혼을 하며 새엄마와 새언니까지 ..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정부 수립 이후 13번째 비상계엄… 45년 만에 선포됐대요 2024.12.12 (목)
지난 3일 밤 10시 23분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해 국내외를 놀라게 했습니다. 4일 새벽 국회에선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됐고, 계엄은 이날 새벽 4시 30분에 해제됐습니다. 이후 대통령 탄핵과 .. 유석재 기자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