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바다→하늘→땅을 돌며 산 무너뜨리고 강 만들어요
2023.08.08 (화)
-
우리나라가 '극한 호우' 시대를 맞았어요. 올여름 장마가 시작된 뒤 전국에 평균 500㎜ 넘는 비가 쏟아져 장마철 평균 강수량을 훌쩍 넘어섰어요. 연일 쏟아지는 집중호우로 빗물이 땅속으로 들어갈 여력이 없어 물이 넘..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무대 위 인문학] 인종 용광로 도시 배경… 노래로 화해 메시지 던져요
2023.08.07 (월)
-
미국 도시 이름을 작품 제목으로 한 뮤지컬 2편이 최근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바로 뮤지컬 '시카고'(5월 27일부터 8월 6일까지,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와 '멤피스'(7월 2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서..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해변에서 책 읽고 물놀이 즐기는 사람들… 그림 보면서 다양한 이야기 상상해 봐요
2023.08.07 (월)
-
해변과 바다베르나르두 카르발류 지음|출판사 그림책공작소|가격 1만8000원이 책은 '글자 없는 그림책'이에요. 그림책이라 하면 보통 영유아 때 읽는 책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이 책은 달라요. 전 연령대가 타깃인 '1..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팥알처럼 붉은빛 도는 꽃… 열매에 독성 있어 살충제 원료로 써요
2023.08.07 (월)
-
나무는 예로부터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어요. 팥꽃나뭇과(科) 팥꽃나무도 그러한 좋은 예랍니다. 팥꽃나무는 봄에 피는 꽃이 꼭 팥알처럼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이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팥꽃나무속(屬)은 유럽·북..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생활 속 경제]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 상승하면… 고지대 집값 올라 기존 주민들 밀려나요
2023.08.03 (목)
-
Q. 미국 마이애미에선 최근 '기후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요. 기후 젠트리피케이션이 뭔가요?A. 기후 젠트리피케이션은 기후 변화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해요. 먼저 젠트리피케이션이 뭔지 알아야겠네요...
김나영 양정중 사회과 교사
-
-
-
- [재밌다, 이 책!]
-
어디라도 '틈만 나면' 활짝 피어나는 들풀… 삶의 의지만 있다면 나로 살아갈 수 있어
2023.08.03 (목)
-
이순옥 지음 | 출판사 길벗어린이 | 가격 1만9500원'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풀.' '잡초'의 사전적 정의예요. 사람이 돌보지 않는데도 쑥쑥 자라고, 눈에 띄는 대로 뽑거나..
김성신 출판 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안중근 의사 사진엽서로 인기, 김옥균은 '사진 동판' 남겨
2023.08.03 (목)
-
독립기념관이 이번 광복절에 안중근 의사와 유관순 열사의 모습을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한 영상을 공개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이 가능한 것은 인물 사진이 남아 있기 때문이에요. 목소리는 남아있지 않아 전문 성우가 더..
이환병 관악고 교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306] '꺼림칙'과 '꺼름칙'
2023.08.02 (수)
-
* 전기와 수소 에너지는 친환경적이나 충전소가 미흡한 편이고, 기름은 주유하기엔 편리하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꺼름칙하다, 꺼림칙하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골라 보세요. 정답은 '꺼림칙하다'입니다. ..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캥거루처럼 주머니서 새끼 키워요… 입 쩍 벌린 모습 때문에 '악마' 별명
2023.08.02 (수)
-
호주 토종 동물인 태즈메이니아데블이 몇 년 전부터 얼굴에 종양이 생기는 무서운 전염병에 걸려 잇따라 죽고 있대요. 최근 이 병의 백신을 개발해 임상 시험에 들어간대요. 호주인들이 직접 백신을 만들 정도로 애지중지하는..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로마, 8만5000㎞ 길 깔아… 페르시아는 28㎞마다 역 설치
2023.08.02 (수)
-
최근 우리나라 곳곳에 '괴(怪)우편물' 2000여 개가 배송됐어요. 정체를 알 수 없는 이 국제우편물은 중국에서 출발해 대만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어요. 국제우편망이 발전하면서 생긴 소동이지요. 과거..
정세정 장기중 역사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