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1500년 전부터 소 이용… 한 마리당 논·밭 700평 갈았죠 2023.08.31 (목)
올여름 장마철에는 폭우로 물에 잠긴 축사에서 소를 구출했다는 소식이 여러번 전해졌습니다. 우리 역사에서 소는 농민의 중요한 재산이자 국가 경제 기반이었습니다. 소를 죽이면 엄벌에 처하기도 했죠. 조선 초기 세조 때 .. 이환병 관악고 교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10] '해치다'와 '헤치다' 2023.08.30 (수)
* 우리나라 젊은 층 대장암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후 장(腸) 건강을 (해치는, 헤치는) 음식이나 습관이 잇따라 소개되고 있다.* 태풍 '카눈'으로 폭우가 쏟아지던 날 가슴 높이까지 차오른 물을 (해치고.. 류덕엽 교육학박사·전 서울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키 5.5m로 제일 큰 기린… 털색은 다른 기린보다 어두워요 2023.08.30 (수)
미국 오하이오주와 버지니아주 동물원에서 최근 2년 새 마사이기린 새끼가 잇따라 태어났어요. 마사이기린은 아프리카 야생에서 최근 30년간 숫자가 절반으로 줄어들 만큼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출산 소식이 더욱 ..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英 상륙이 유럽 역사 갈라… 무적함대·나폴레옹은 못 건너 2023.08.30 (수)
지난 12일(현지 시각) 프랑스와 영국 사이에 있는 영불해협에서 이민자들이 탄 보트가 뒤집혀 남성 6명이 숨졌어요. 영불해협은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건너가는 이민자들의 주요 통로가 되고 있어요. 영국 정부 통계에 따르.. 서민영 계남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고전 이야기] 언어·신화·종교 속에 있는 '놀이'… 오늘날의 문화 만든 원동력 됐죠 2023.08.29 (화)
인간이나 동물에게 다 같이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생각하기나 만들어 내기만큼 중요한 제3의 기능이 있으니, 바로 ‘놀이하기’다.네덜란드 출신 역사학자이자 철학자 요한 하위징아(1872~1945)가 1938년 발표한 ..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춤출 때나 운동할 때 생기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요 2023.08.29 (화)
석유도, 내연 기관도, 발전소도 없던 태초의 인류에게는 사람의 힘 이외의 다른 동력은 없었어요. 사람이 움직이면서 만들어 낸 에너지를 기계 장치나 도구를 이용해 유효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인간 동력'이라고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아바·김광석 히트곡에 재밌는 이야기 더했죠 2023.08.28 (월)
노래와 춤, 음악이 어우러지는 공연 예술을 뮤지컬이라 부르죠. 그중에서도 음악은 뮤지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때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극적 이야기를 더한 뮤지컬을 특별히 '주크박스 뮤..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재밌다, 이 책!]
계절이 변하면 먼저 떠오르는 단어들… 뜻 되새기며 세상 이해하는 폭 키워요 2023.08.28 (월)
김민지 지음|출판사 사람IN | 가격 1만5000원지난주 수요일은 '더위가 그친다'는 뜻의 처서(處暑)였어요. 처서가 지나면 여름 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가을이 오지요. 이 책은 다가오는 가을과 잘 어울리는 '작..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부르는 이름만 25가지… 새빨간 열매는 야생 동물의 겨우살이 먹이 2023.08.28 (월)
월귤은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등 스칸디나비아부터 북부 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북미까지 널리 분포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링곤베리·폭스베리 등 25가지의 아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온대기후대부터 북극 가까운 곳..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옛날 옛적…' 모두가 아는 뻔한 동화… 주인공 입장에서 다르게 생각해 봐요 2023.08.24 (목)
필립 잘베르 지음 | 김시아 옮김 | 출판사 올리 | 가격 1만4000원'옛날 옛적, 먼 왕국에 높은 탑이 수없이 많은 성이 있었어요. 성에는 아이를 낳지 못해 너무너무 슬퍼하는 왕과 왕비가 살았어.. 김성신 출판평론가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