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02] '새침데기'와 '새침떼기' 2023.07.05 (수)
최근 개봉한 영화에서 아빠 역을 맡은 배우가 상대 역을 맡은 배우에 대해 "(새침떼기/새침때기/새침데기/새침대기)일 것 같았는데 무척 털털하다"고 말했어요.괄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새침데기'입니다. ..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2억년 전 화석 모습과 비슷… 깨끗한 논에 살며 잡초 없애준대요 2023.07.05 (수)
얼마 전 경남 산청군의 논에서 긴꼬리투구새우가 발견됐어요. 올해로 20년째라고 하네요. 긴꼬리투구새우가 산다는 건 주변이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이라는 뜻이에요. 새우는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동물이지만, 긴꼬리투구새..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고르비에 군부 반발… 3일 만에 진압됐지만 소련 해체로 2023.07.05 (수)
러시아 용병 기업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지난달 24일(현지 시각) 반란을 일으켰어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중재에 나섰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프리고진과 그의 병사들을 처.. 윤서원 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알립니다] '중·고교생을 위한 1318 독서노트' 나왔어요 2023.07.05 (수)
조선일보가 '중·고교생을 위한 1318 독서노트'를 만들었습니다. 고전·철학·시사 기사와 다양한 질문지를 엮었습니다. 수행 평가, 논술·구술시험 때문에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조선일보 독자는 조..
[신문은 선생님]
[고전 이야기] "무지를 인정하는 내가 가장 지혜로워" 사형되기 전 소크라테스의 변론 담아 2023.07.04 (화)
"그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안다고 착각하는 반면, 나는 그와 마찬가지로 아무것도 모르지만 내가 무엇인가를 안다고 착각하지는 않는 것을 보니, 내가 그 사람보다 지혜롭기는 하구나."기원전 399년 철학..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0.2초 만에 먹잇감 식별하고 꿀꺽, 비 오면 육식하는 식물도 2023.07.04 (화)
요즘 많은 양의 음식이나 신기한 음식을 먹고 그 모습을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방송, 일명 '먹방'이 큰 인기입니다. 그런데 자연에서도 특이한 먹성을 자랑하는 동식물이 있다고 해요. 눈 깜짝할 사이에 빠르게 먹이를 먹는.. 이윤선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귀신 들린 집' 이야기 원형인 공포 소설… 시골 저택서 벌어진 초자연적 사건 담아 2023.07.03 (월)
헨리 제임스 지음|최경도 옮김|출판사 민음사|가격 8000원독특한 분위기와 긴장감이 매력적인 미국 소설이에요. 요즘처럼 더운 여름날 읽으면 서늘해지죠. 크리스마스 이브 저녁, 여러 남녀가 모여 으스스한 유령 이야기를..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작은 종 모양의 분홍색 꽃… 줄기 껍질은 옷 만들 때도 쓴대요 2023.07.03 (월)
우리나라에서 1910년대 이후 90여 년 동안 자취를 감췄다가 2005년 다시 발견된 식물이 있어요. 여름이 시작되는 지금 한창 향기로운 꽃이 피는 '개정향풀'이에요. 개정향풀은 2005년 경기도 한 바닷가에서 군락..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광야 연상시키는 호쾌한 스타일… 19살 때 명곡 작곡도 2023.07.03 (월)
'2023 교향악축제'가 지난달 25일 마무리됐습니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전관 개관 30주년 기념으로 열린 올해 교향악축제 프로그램에는 흥미로운 우연이 있었어요. 17개 교향악단 중 4팀이 각기 다른 작곡가 4.. 김주영 피아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미켈란젤로는 왜 4년이나 천장화 그렸나" 퀴즈 풀며 명화 속 숨은 이야기 찾아봐요 2023.06.29 (목)
서유진 글·이창우 그림 | 김석모 감수 | 출판사 이룸아이 | 가격 1만4500원아주 잘 그린 미술 작품, 그래서 많은 사람이 작가 이름이나 제목 등을 기억하는 유명한 그림을 명화.. 김성신 출판 평론가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