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손 달린 물고기' '사막서 깬 새우'… 정체 모를 생명체 더 있어 2023.10.17 (화)
최근 백두산에 괴물이 나타났다는 제보가 화제였어요. 제보 영상 속 백두산 천지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무언가가 헤엄을 치고 있었어요. 헤엄을 쳐서 생긴 물살이 분명히 보이는데, 물살을 만드는 주인공을 명확히 구별하기.. 이윤선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추억·사랑·우정을 품고 있는 도시… 소설 8편 읽으며 '나'를 찾아 떠나요 2023.10.16 (월)
소설 목포박생강 외 지음|출판사 아르띠잔|가격 1만5000원가을이 깊어지고 있어요. 어디론가 훌쩍 떠나기 좋은 계절이죠. 그러나 모두가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만약 여유가 없다면, 책을 통해 다른 도시를.. 김미향 콘텐츠 스타트업 에디튜드 대표·작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흔하게 볼 수 있지만 물을 맑게 정화하는 고마운 식물이죠 2023.10.16 (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수질 정화 능력이 뛰어난 고마운 식물이 있어요. 우리나라 전국에서 햇볕이 잘 드는 개울가나 물웅덩이 주변에 수북하게 모여 자라는 고마리예요. 고마리는 줄기가 땅에 닿는 마디..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체코 필은 드보르자크 첫 지휘… 게반트하우스는 280년 역사 2023.10.16 (월)
올가을 클래식 음악계에는 전례 없는 해외 오케스트라 내한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이 공식적으로 끝나고 맞는 첫 가을이기 때문이죠. 이미 도이치 방송 교향악단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취리히 톤할레.. 김주영 피아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할머니가 손녀에게 보낸 편지 35통… 자연과 사귀는 법 하나씩 알려줘요 2023.10.12 (목)
모든 생명은 아름답다. 너도 그래야나기사와 게이코 지음 | 홍성민 옮김 | 전국과학교사모임 감수 | 출판사 공명 | 가격 1만5000원생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 레이철 카슨은 타임지(誌)가 선정한 '20세기를 변화시킨 ..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초상화로 진짜 얼굴 알 수 있는 조선 임금은 4명뿐이죠 2023.10.12 (목)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어진(御眞) 봉안 의례 재현 행사가 지난 7일 전북 전주에서 열렸어요. '어진'은 임금의 초상화를 말하고, '봉안'은 받들어 모신다는 뜻이에요. 어진은 진전(眞殿)이라는 건물을 지어 소중..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16] '배다'와 '베다' 2023.10.11 (수)
지난 10일은 저출산을 극복하고 임산부를 배려·보호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제정한 '임산부의 날'이었어요. 이날과 관련해 맞춤법 퀴즈에서 세 명 중 한 명은 틀린다는 우리말 '배다'와 '베다'를 구별해 볼까.. 류덕엽 교육학박사·전 서울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벌새처럼 생겼지만 나방… 천적인 박쥐 피하려 초음파 쏘는 종류도 2023.10.11 (수)
얼마 전 충북 청주에서 대롱처럼 생긴 주둥이를 꽃에 꽂고 열심히 꿀을 빠는 동물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왔어요. 쉴 새 없이 날갯짓하는 모습이 벌새와 빼닮았지만, 더듬이 한 쌍이 있어 새가 아니라 곤충임을 알 수 있었어..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교황 비판 '삐라' 종교개혁에 큰 역할… 전쟁 땐 '종이 폭탄' 2023.10.11 (수)
지난달 대북 전단, 일명 '삐라' 살포를 금지한 '대북 전단 금지법'이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어요. 헌법재판소는 이 법이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침해한다"고 판단했어요. '삐라'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은데.. 서민영 계남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1931년 런던교통국 전기 기술자가 고안… 수직·수평·45도 대각선만으로 노선 구현 2023.10.10 (화)
서울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이 40년 만에 바뀐다고 해요. 순환선인 2호선은 동그라미로, 나머지 노선은 수직·수평 또는 45도 대각선으로 표현했어요. 환승역은 각 노선 색깔로 채운 동그라미로 표시했고요. 위치를 가늠할..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