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디자인·건축이야기] 서울올림픽, 한국 디자인 발전시킨 결정적 계기됐대요
2019.09.17 (화)
-
지난 6일 원로 디자이너 조영제(84) 서울대 명예교수가 별세했습니다. 그는 과거 OB맥주, 신세계백화점, 한국외환은행, 동아제약 등 수많은 기업 로고를 디자인했어요. 대한민국 디자인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121
2019.09.17 (화)
-
손흥민이 15일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경기에서 크리스털 팰리스를 상대로 2골을 넣으면서 유럽 진출 후 소속팀 경기에서 넣은 골이 118골이 됐습니다. 3골만 더 넣으면 차범근이 기록한 한국인 유럽 통산 최다..
양지호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05] '매다'와 '메다'
2019.09.12 (목)
-
*추석에 친척 집에 갈 때면 우리 아버지는 항상 넥타이를 (매고, 메고) 가신다.*유치원 가방을 (멘, 맨) 조카의 모습이 참 귀엽다.*자동차에 타면 가장 먼저 안전띠부터 (매도록, 메도록) 해라.괄호 안에 들어갈 ..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종양 먹어 치우고 뇌혈관 뚫어주는 '초소형 의사'
2019.09.12 (목)
-
여전히 많은 사람은 '로봇' 하면 '로봇 태권 V'처럼 강철로 만들어진 인간형 물체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사실 로봇을 꼭 쇠로만 만들어야 할 이유는 없어요. 굳이 사람을 닮게 만들 이유도 없고요.실제로 쇠가 아닌 부..
주일우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김경일의 심리학 한토막] 목표의식 뚜렷한 학생, 학업 분위기 안 좋을 때 더 열심
2019.09.11 (수)
-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에 강한 영향을 받습니다.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으면 자신도 남을 도우려고 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어느새 평소보다 난폭해집니다. 사람은 은연중에 자신과 가..
김경일·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단어] 황금사자상
2019.09.11 (수)
-
미국 블록버스터 영화 '조커'가 7일 베네치아 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받았습니다. 황금사자상은 베네치아 영화제 최고 작품상으로, 기존 그랑프리를 대신해 1949년 생겼습니다. 올해로 70년이 됐습니다.황금사자상 트로..
양지호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아하! 이 장소] 적도 주변의 세계에서 셋째로 큰 섬… 인도네시아 새 수도 예정지로 낙점
2019.09.11 (수)
-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는 급속한 도시화로 무분별한 개발이 이어지면서 지반이 연평균 7.5㎝씩 내려앉고 있습니다. 현재 도시 전체 면적의 40%가 해수면보다 낮아진 상태라고 해요. 해수면 상승 및 홍수 피해 등에 취..
박의현·서울 창덕여중 지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 있는 세계사] 대혁명 43년 후 이틀간의 봉기, '레미제라블' 배경이죠
2019.09.11 (수)
-
지난 3월부터 범죄인인도법에 반대하는 홍콩 시위가 이어지고 있죠. 홍콩 시위대는 평화 시위의 한 방식으로 뮤지컬 '레미제라블'에 나오는 '민중의 노래(Do you hear the people sing)'를 불렀어요...
윤서원·서울 성남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달 차오르듯 흥하길'… 반달 모양으로 송편 빚는 이유죠
2019.09.10 (화)
-
우리 조상은 추석에 햇곡식으로 송편을 지어 먹었어요. 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불분명합니다. 고려 말 학자 이색의 시문집 '목은집'에 '팥으로 속을 채운 떡을 먹었다'는 대목이 있어, 이걸 송편의 일종으로 보고 고려시대..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장애인 부모님 도우면 착한거예요? 저에게는 평범한 일상일 뿐이에요
2019.09.10 (화)
-
착한 아이 안 할래!김효진 지음|버닝피치 그림|웃는돌고래|100쪽|1만원초등학교 2학년 찬이는 하루에도 여러 번 부모님 TV 리모컨 심부름을 합니다. 냄새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갖다버리는 것도 찬이 몫이에요. 찬이 ..
김성신·출판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