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이야기] '해골 같다'면서… 모파상은 왜 1층 식당서 자주 점심을 먹었을까 2020.09.09 (수)
'단순 노출 효과'라는 심리학 용어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싫거나 관심이 없었는데 자주 접하다 보니 호감이 커지는 현상인데요. 이를 다른 말로 '에펠탑 효과'라고 부른답니다. 준공 당시만 해도 공공의 적이었던 프랑스 .. 전종현 디자인 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하얀 러시아'로 불렸던 벨라루스의 수도… 러시아와 서유럽 잇던 교통 요충지였죠 2020.09.09 (수)
지난달 초 벨라루스 대선에서 26년째 집권 중인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 루카셴코 대통령이 6연임에 성공했다는 발표가 있었어요. 시민들은 부정선거라며 수도 민스크에 모여 시위를 벌이고 있답니다.민스크는 벨라루스 한가.. 박의현 서울 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숨어 있는 세계사] 90세까지 장수한 최강의 파라오… 히타이트 제국과의 16년 전쟁으로 유명해요 2020.09.09 (수)
코로나 유행으로 문을 닫았던 런던 영국박물관이 지난달 5개월 만에 재개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영국박물관에는 영국이 제국주의 시절 약탈하거나 수집한 전 세계의 유물이 800만여 점이나 있는데요. 유명한 전시물 중.. 윤서원 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여권으로 세상읽기] 2400년 전 페르시아의 '안전통행증'서 유래… 세계 195국 중 193국의 여권 크기가 같아요 2020.09.08 (화)
기록에 따르면 역사상 최초의 여권은 기원전 45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대 페르시아 왕이 자신의 신하 느헤미야를 예루살렘 지역 총독으로 임명하면서 그가 임지까지 무사히 이동하도록 유프라테스강 서쪽 총독들에게 .. 이청훈 출입국관리공무원
[신문은 선생님]
[화폐로 세상 읽기] 880만원짜리 지폐… 뇌물, 재산도피 없다는 자부심 담겼죠 2020.09.08 (화)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지폐가 뭔지 아세요? 싱가포르의 '1만달러' 지폐입니다. 1만 싱가포르달러는 우리 돈으로 약 880만원이나 됩니다. 그다음은 1000스위스프랑(약 130만원), EU 국가들이 쓰는 500유로.. 배원준 세계화폐연구소장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이웃을 돕고 규칙 정하고 잘못 바로잡기… 우리 사회 함께 꾸리는 '시민'의 일이죠 2020.09.08 (화)
시민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데이브 에거스 글 |숀 해리스 그림김지은 옮김|이마주|56쪽|1만1000원이 책은 시민이 해야 할 일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알려줍니다. 한 그루의 나무를 심는 일, 한 사람의 이웃을 돕는.. 박사 북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숫자] 2 2020.09.08 (화)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으로 잠정 중단됐던 경기 파주 지역 DMZ(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이 조만간 재개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도라산전망대와 제3땅굴 등을 돌아보는 관광 코너로 인기가 많았답니다.DMZ는 국.. 박세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김주영의 클래식 따라잡기] "레코딩만이 최고의 음악 들려줘"… 무대 거부했던 '괴짜 피아노맨' 2020.09.08 (화)
코로나 유행으로 연주자들이 청중과의 교감 없이 마이크나 카메라 앞에서 홀로 연주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고독한 작업을 한창 인기가 오르던 30대 초반에 선택한 음악가가 있는데요. 콘서트 무대에서 은퇴.. 김주영 피아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사건] 플레밍의 페니실린 발견 2020.09.04 (금)
1928년 9월 3일 영국 런던대학의 한 실험실에서 미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1881~1955) 교수가 세균 배양접시에서 푸른색의 곰팡이를 발견했습니다. 이 곰팡이는 배양접시의 다른 세균이 자라지 못하게 막았을 뿐.. 박세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A4 용지 42번 접으면 두께가 43만9804.7㎞ … 달나라까지 닿을 수 있는 거리래요 2020.09.04 (금)
우리는 2배를 그리 대수롭지 않게 여겨요. 하지만 그 위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대단하답니다. A4 용지가 한 장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 종이를 계속해서 반으로 접어 두께를 2배로 만든다고 가정해볼게요.우..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