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엄마와 함께 하는 명화 색칠공부]
윤곽선 지운 모나리자 그림, 다 빈치의 지문 남았답니다 2015.03.19 (목)
이 그림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가 그린 '모나리자'야.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지. 이 그림을 색칠하는 데는 비밀 도구가 필요해. 바로 손이란다. 그는 다람쥐털로 만든 붓으로 물감을 칠한.. 황록주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세상을 바꾼 리더]
"중국을 구하라" 무기력한 청나라 무너뜨려 근대화 바란 혁명가 2015.03.19 (목)
쑨원은 1866년에 청나라 광둥성의 한 마을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어요. 쑨원이 태어난 시기는 청나라가 기울기 시작하던 때였어요. 청 왕조와 지배 계층의 부패는 극에 달해 있었고, 국민은 무기력감에 빠져 있.. 박영진·후(who) 시리즈 위인전 편집인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풍년 빌던 '머슴날'… 바위를 번쩍 들면 진짜 어른 됐대요 2015.03.19 (목)
달력을 이리저리 넘겨보면 온통 비슷한 숫자들만 가득한 것 같지만, 한 해에는 특별한 날이 보물처럼 숨어 있어요. 여러분이 가장 기다리는 날은 언제인가요? 한 살 더 먹고 덕담도 듣는 '설날', 모두로부터 축하를 받는.. 방민희 서울 관악초등학교 교사
[개념쏙쏙! 수학]
누가 더 멀리 날았지? '활공비'로 알아보자 2015.03.19 (목)
꽃샘추위가 끝난 지난 주말, 상헌이는 아빠와 함께 집 근처에 있는 산으로 등산을 갔습니다. 예쁜 꽃, 푸른 나무를 보며 쉼 없이 산을 오르다 보니 어느덧 정상이었습니다. 정상 한편에서는 무거운 장비를 든 아저씨들이 .. 이충국·CMS에듀케이션 대표
[신문은 선생님]
[알립니다] '엄마와 함께 하는 명화 색칠공부' 코너 연재 안내 2015.03.19 (목)
오늘부터 새 코너인 '엄마와 함께 하는 명화 색칠공부'가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유명한 그림에 담긴 숨은 이야기를 통해 명화를 폭넓게 이해하고, 독자 여러분이 화가가 돼 원작을 패러디한 만화를 따라 그려볼 수 있..
[책으로 보는 세상]
차이를 인정 않는 사회, 과연 옳은 것일까 2015.03.18 (수)
읽고 싶은 책을 빌리거나, 조사를 위해 각종 문헌을 뒤적여야 할 때 우리가 먼저 찾는 장소가 있어요. 바로 도서관이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서관으로는 1945년에 개관한 '국립중앙도서관'이 있지요. 국립중앙도서관은.. 박혜강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선임연구원
[교과서 여행]
작가 김유정의 고향에서 소설 '동백꽃' '봄봄'을 만나봐요 2015.03.18 (수)
봄이 오면 생각나는 작가 중 한 명이 김유정(1908~1937)입니다. 그의 대표작인 '봄봄' 때문이죠. 봄봄은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단편소설이에요. 공교롭게도 김유정 작가는 봄에 돌아가셨어요. 다가올 3월 29일에.. 임후남 여행작가
[재미있는 과학]
빛·온도 따라 작동하는 '생체 시계' 2015.03.17 (화)
지난 3월 6일은 경칩이었어요. 경칩은 24절기의 하나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땅속에서 깨어난다는 의미가 담겨 있죠. 이 시기가 되면 뱀, 개구리 등 다양한 동물과 더불어 식물도 활동을 시작해요. 앙상했던 나뭇가지.. 조영선·과학 학습 도서 저자
[탈북 교사의 북한 학교 이야기]
4월에 새 학년… '집단주의' 강조해 졸업 때까지 학급·담임교사 똑같아요 2015.03.17 (화)
새 학년이 시작된 지 벌써 보름이 지났어요. 새로운 친구들은 많이 사귀었나요? 오늘은 우리의 새 학년 풍경을 떠올리며 북한의 개교식을 살펴보도록 할게요.북한은 우리와 달리 4월에 새 학년이 시작돼요. 전(前) 학년도.. 정명호·전(前) 양강도 혜산시 소재 중학교 교사
[사진으로 보는 세계]
미국 최초 국립공원, 1만개 온천이 다채로운 빛 뽐내요 2015.03.16 (월)
봄이 오는 것을 시샘이라도 하듯 지난주에는 꽃샘추위가 한창이었어요. 이제 곧 산과 들에 야생화가 꽃망울을 터뜨리면 기지개를 켜는 자연을 보기 위해 국립공원을 찾는 등산객도 증가할 것입니다.낮게 드리운 구름 아래로 눈.. 김옥선 용인 백현중학교 교사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