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진으로 보는 세계] 공항 환승 구역… 붐비는 여행객 사이 고국 못 가고 떠도는 사람도 있어요
2015.07.27 (월)
-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이맘때면 피서지로 향하는 인파의 행렬이 끝도 없이 이어져요. 땅 위를 힘차게 박차고 떠오르는 비행기의 모습을 보니 마치 휴가를 떠나온 것처럼 마냥 설레네요. 이곳은 영국의 런던 히스로 공항으로..
사진=한성필(사진작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백제 마지막 수도, 사비서 부흥 꿈꾸다
2015.07.27 (월)
-
지난주에는 최근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백제역사유적지구 중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아울러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이 있는 공주에서 백제는 어떤 역사를 펼쳤는지 살펴보았고요.이번에는 백제역사유..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NIE]
-
"교사의 꿈, NIE 스크랩하며 키워나가고 있어요"
2015.07.24 (금)
-
"교사라는 꿈에 더 가까워지기 위해 NIE(신문활용교육) 스크랩을 시작했어요. 스크랩을 완성해가며 교사가 되기 위해 할 일과 교사가 된 이후에 어떻게 할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이은지(제주 한라중 3·사진)양은 주니..
-
- [신문은 선생님 NIE]
-
제8회 조선일보 '전국 NIE 대회' 부문별 1등 수상 소감
2015.07.24 (금)
-
스크랩 초등부 1등 이다희양주니어 스크랩 초등 부문 1등을 수상한 이다희(제주 백록초 6)양의 스크랩 주제는 '경제'였다. 이양은 "신문은 경제를 보는 창이란 말을 많이 들었다"고 어른스럽게 말했다. IT 산업부터 ..
-
-
-
- [신문은 선생님]
-
[미술관에 갔어요] 예술… 디에고… 그녀가 사랑했던 모든 것
2015.07.24 (금)
-
사람이 만약 눈을 세 개 가지고 있다면, 그러니까 양쪽 두 눈과 더불어 이마 위에 또 하나의 눈이 있다면, 무엇을 더 볼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은 두 눈으로 보는 세상이에요. 이마 위에 얹힌 세 ..
이주은 교수(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
-
-
- [신문은 선생님]
-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개구리·족제비·북극곰… 동물마다 좋아하는 날씨 달라
2015.07.23 (목)
-
오늘은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인 '대서'예요.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인데, 이즈음의 날씨는 그야말로 '종잡을 수 없는 변덕쟁이' 같답니다. 지루하게 내리던 장맛비가 그치고 나면, 해님이 며칠 내내 벼른 것처럼 ..
방민희·서울 관악초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엄마와 함께하는 명화 색칠공부] 그림 속 말 달려나올 듯, 역동적으로 표현해봐요
2015.07.23 (목)
-
"돌격! 앞으로!" 이렇게 외치는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은 그림이로구나. 산을 넘으려는 말의 당당한 기세와 결연한 눈빛으로 우리를 바라보는 사람의 모습이 정말 역동적이지? 누구라도 저 장수를 따른다면 단 한 차례의 ..
황록주·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세상을 바꾼 리더] 어린 시절 품은 상상력… 영화 통해 새로운 세계 보여주다
2015.07.23 (목)
-
'쥐라기 공원' 'E.T.' '라이언 일병 구하기' 같은 영화의 이름을 모두 들어 보았을 거예요.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작품성도 인정받은 이 영화들은 바로 미국 최고의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1946~)의 작품이에요..
박영진 후(who) 시리즈 위인전 편집인
-
-
-
- [신문은 선생님]
-
[개념쏙쏙! 수학] 볼링의 '퍼펙트게임' 스트라이크 몇 번 쳐야 할까
2015.07.23 (목)
-
아빠와 함께 볼링장에 간 우주는 처음으로 볼링을 칠 수 있다는 생각에 설레었어요."아빠, 약속했어요! 오늘은 저도 볼링공 굴리게 해주시는 거예요.""하하, 대신 우주한테 볼링공은 많이 무거우니까 어른들처럼 한 손으로..
이충국 CMS에듀케이션 대표
-
-
-
- [신문은 선생님]
-
[책으로 보는 세상] "왕이여, 지혜란 '어리석음'을 벗는 것이지요"
2015.07.22 (수)
-
텔레비전 시사 프로그램에서 어떤 사안을 두고 자기 주장을 펼치며 그 타당함을 보이거나 상대방의 주장에 허점이 있음을 지적하며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싸움을 벌이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러한 사람을 '논객(論客..
김대근·한우리독서토론논술 선임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