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87] '메우다'와 '메꾸다'
2021.04.06 (화)
-
* 평일 낮에도 벚꽃 길을 가득 (메운, 메꾼) 시민들로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로 줄어든 매출을 빚으로 (메운, 메꾼) 자영업자들이 늘면서 갚기 힘든 빚이 무려 80조원에 이른다고 한다.위 두 문장에서..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지구 기온 낮추기 위해 '인공나무'·인공구름 만들어요
2021.04.06 (화)
-
전 세계 과학자들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어요. 이 가운데 공학 기술로 지구의 기후 시스템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분야가 있습니다. 지구공학(Geo-engineering) 또는 기후..
안주현 박사·서울 중동고 과학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무대 위의 인문학] 편견 버리고 다름 인정한 두 마녀의 우정을 그렸어요
2021.04.05 (월)
-
"날아올라, 중력을 벗어나, 하늘 높이 날개를 펼 거야. 날 막을 순 없어!"5년 만에 국내 공연을 시작한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의 뮤지컬 '위키드' 1막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초록 마녀가 빗자루를 타고 ..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옛 그림 32점에 숨어있는 선조들의 삶… '책거리도'엔 선비들의 애장품 있어요
2021.04.05 (월)
-
이광표 지음 l 한용욱 그림 l 출판사 그린북 l 가격 1만5000원그림은 보는 사람을 즐겁게 하고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그림엔 작품 자체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화가가 그림을 그리던 당시의 풍습과 문화가 담겨있어요...
박사 북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전 국민이 '민둥산'에 나무 심어… 지금은 국토 60%가 숲이 됐어요
2021.04.05 (월)
-
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 식목일은 1949년 제정됐어요. 당시엔 무엇보다 '민둥산'에 숲과 산림을 회복하는 게 목표였죠. 민둥산은 나무가 없는 산이란 뜻이에요. 당시 우리나라 산 대부분이 민둥산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5개까지는 세지 않아도 척 보면 알 수 있어요
2021.04.01 (목)
-
그림 1과 그림 2에 있는 공이 각각 몇 개인가요? 누구나 쉽게 3개, 10개라고 답을 맞힐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림 1과 그림 2에 있는 공의 숫자를 맞힐 때 사고 과정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림 1은 보자마자 ..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사형과 종신형 중 고를 수 있다면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할 건가요?
2021.04.01 (목)
-
10대를 위한 나의 첫 고전 읽기 수업박균호 지음 l 출판사 다른 l 가격 1만4000원예전에 만들어졌지만, 시대를 초월해 높이 평가받는 문학작품을 고전이라고 합니다. 고전은 후세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생각거리를 던지..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조선시대 '서울시장'은 수사·재판·시체 검사까지 했어요
2021.04.01 (목)
-
서울시장을 뽑는 선거가 오는 7일 실시됩니다. 서울시장은 인구 1000만명에 가까운 수도 서울의 최고 행정 책임자이지요. 그만큼 권한이 크고 책임도 막중하답니다. 조선시대에는 어땠을까요? 당시의 서울시장은 '한성판윤..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맛있는 한자 〈서유기〉 편
2021.04.01 (목)
-
매주 토요일 발행되는 만화 한자 학습지, 맛있는 한자 〈서유기〉 편을 만나보세요. 삼장법사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과 함께 불경을 구하러 가는 모험기인 〈서유기〉를 통해 생활한자와 사자성어를 익힐 수 있습니다. 맛..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86] '다디달다'와 '쌉싸름하다'
2021.03.31 (수)
-
* 우리 할아버지는 양갱보다 (다디단/달디단) 마카롱을 좋아하신다.* 봄 내음 물씬한 (쌉싸름한/쌉쓰름한) 씀바귀 무침이 참 맛있다.두 문장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올바른 단어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다디단'과 '쌉싸..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