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243] '막내딸'과 '막냇동생'
2022.05.18 (수)
-
*덕혜옹주는 조선왕조 최후의 황녀로 고종의 (막내딸, 막냇딸)로 태어났다.*(막내동생, 막냇동생)이 용돈을 모아 할머니께 카네이션과 선물을 사 드려 너무 대견했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차례대로 '막내딸' '막냇동생..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여우처럼 주둥이 튀어나온 원숭이… 관악기 같은 울음소리 내요
2022.05.18 (수)
-
인도양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는 여우원숭이 인드리(Indri)가 멸종 위기에 처했어요. 사는 숲이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주민들은 인드리가 내는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는 게 아닐까 걱정이 크다고 합니다...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거리에 돈 굴러다니고… 하루에 물가 두 배 뛰기도 했죠
2022.05.18 (수)
-
지금 전 세계는 인플레이션(Inflation)에 대한 두려움으로 떨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은 물건 값이 계속 오르면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올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김밥, 라면, 삼겹살 값 같은..
서민영 함헌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4800년 전 이집트가 최초 건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때 처음 만들었죠
2022.05.17 (화)
-
5월 중순부터 한반도에 때 이른 장마가 찾아올 수 있다고 해요. 장마철이 되면 수해(水害)를 입을 가능성도 커지게 되는데요. 이때 늘어나는 강물을 통제하기 위해 우리나라에는 많은 댐이 설치돼 있습니다. 댐은 어떤 역..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 이야기] '아무 데도 존재하지 않는 곳'이란 뜻… 자본주의 초기 불평등과 양극화 풍자
2022.05.17 (화)
-
유토피아 사람들은 모든 쾌락 가운데 무엇보다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고, 이걸 가장 높이 칩니다. 대부분 쾌락은 덕(德)을 실천하고 올바른 삶을 깨닫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영국 법률가이자 정치가 토머스 모어(147..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온도 높을수록 푸르게 빛나… 클수록 수명 짧아요
2022.05.17 (화)
-
밤하늘의 별은 모두 같은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별들은 지구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모두 달라요. 북극성 주변에 있는 국자 모양의 별들인 북두칠성을 예로 들어볼게요. 국자 끝에 해당하는 두베는 지구에서 약 ..
이지유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명화 돋보기] 청계천 다슬기 모양 조형물도 부부가 같이 만들었대요
2022.05.16 (월)
-
5월 21일은 '부부의 날'이에요.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뜻에서 21일로 정해졌다고 하는데요. 예술가 중에서도 남편과 아내가 한마음으로 지혜와 손을 모아 창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렇다면 개인의 이름보..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그림 그리며 엄마 건강 바라던 소녀… 화가 꿈 이루려 세상 밖으로 나왔죠
2022.05.16 (월)
-
사라 룬드베리 지음 l 이유진 옮김 l 출판사 산하 l 가격 1만3000원이 책은 만화 형식 소설인 '그래픽 노블'입니다. 스웨덴의 유명 화가 베타 한손(19 10~1994)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요. 저..
서현숙 '소년을 읽다'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태백산에서 처음 발견… 꽃 모양이 배드민턴 셔틀콕 닮았어요
2022.05.16 (월)
-
나도바람꽃, 꿩의바람꽃, 홀아비바람꽃, 들바람꽃…. 이렇게 '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은 대부분 봄에 꽃을 피워요. 이른 봄 눈 속에서 꽃을 피워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너도바람꽃과 변산바람꽃이 대표적이죠. 그..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아인슈타인도, 촘스키도 부여받아… 수학자들은 명예처럼 여긴대요
2022.05.12 (목)
-
전 세계에서 수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수학자는 30만~40만 명 정도가 있다고 추산돼요. 그런데 이런 수학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번호'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헝가리 출신 팔 에르되시(1913~1996)는 수..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