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세상을 바꾼 리더]
형식 벗어난 자유로운 춤으로… 현대무용의 막을 연 '맨발의 무용수' 2014.11.13 (목)
춤은 인류의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어요. 그중에서도 현대무용은 19세기 말에 등장한 춤의 한 형태로, 자유로움과 개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에요. 현대무용의 등장은 전통 발레 등 형식에만 치우쳤던 무.. 김선영·후(who) 시리즈 위인전 편집인
[그림으로 보는 자연]
붉게 익은 당근, 눈 건강 지켜주는 영양소 많답니다 2014.11.13 (목)
지난 화요일(11일)은 '눈의 날'이었어. 하늘에서 펄펄 눈이 내리지도 않았는데 웬 눈의 날이냐고? 아니 아니, 세상을 보는 데 쓰는 우리의 두 눈(目) 말이야. '우리 몸이 천 냥이라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 박윤선·생태교육 활동가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친구와 화해하면… 마음에 '살랑살랑' 봄바람 불어요 2014.11.13 (목)
치타만큼 빠르게 변하고, 백과사전만큼 다양하고 복잡한 것이 우리 안에 있어요. 무엇일까요? 바로 '마음'이에요. 사람의 마음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바뀌거든요. 우리 안에 있는 이 '마음'이란 건 대체 어떻게 생겼을까.. 방민희·서울 관악초등학교 교사
[개념쏙쏙! 수학]
구구단처럼 쉬운 두 자릿수 곱셈법은? 2014.11.13 (목)
"아, 또 틀렸네. 두 자릿수끼리의 곱셈은 왜 이렇게 헷갈리지?"수학 문제집을 풀던 민수가 짜증스럽게 말했어요. 그러자 엄마께서 말씀하셨습니다."민수야, 네가 지난번에 곱셈은 구구단만 알면 쉽게 할 수 있다고 했잖니.. 김은숙·어린이 수학 전문 저술가
[책으로 보는 세상]
꾸며낸 모습 아닌… 진정한 나를 찾으세요 2014.11.12 (수)
'뻥치다'라는 말을 모르는 친구는 아마 없을 거예요. 하지만 이 말의 뜻을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이해하기도 해요. 어떤 친구는 '거짓말하다'라는 뜻으로 이해하는 반면, 또 다른 친구는 '허풍 떨다'는 말로 이해할 .. 박혜강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선임연구원
[교과서 여행]
화산 폭발이 만들어 낸 절벽, 아름다운 육각형의 기둥 모양이랍니다 2014.11.12 (수)
제주도는 볼거리가 정말 많은 곳이에요. 지난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2007년에는 한라산·성산일출봉·거문오름용암동굴계 등이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지요. 201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도 .. 임후남 여행 작가
[사진과 그래프로 생각 키우기]
11월 7일 A10면 2014.11.11 (화)
[이슈토론]
빅데이터 활용한 범죄예측 2014.11.11 (화)
지난 10월 29일 영국의 BBC 방송은 런던 경찰청이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큰 인물을 찾아내는 범죄예측 시스템을 시험 운영 중이라고 보도했어요. 조직범죄 데이터베이스와 범죄자 SNS 동향 등을 포함한 '빅데이터'.. 이승철 PD
[알립니다]
겨울학기 초등NIE 강좌로 글쓰기 배워보세요 2014.11.11 (화)
조선일보가 겨울학기 초등NIE 강좌를 개강합니다. 신문과 친해지고, 시사와 글쓰기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장소: 조선일보 광화문 교육센터▲신청: nie.chosun.com▲문의: (02)724-6024~5&..
[재미있는 과학]
뼈 하나만 보면… 몸의 길이 알 수 있죠 2014.11.11 (화)
"50년 된 공룡의 미스터리가 국내 과학자에 의해 풀렸습니다."최근 공룡 학계에서 50년 동안 풀지 못했던 비밀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 화제가 되었어요. 1965년 몽골의 사막에서 2.4m 길이의 앞발 뼈 화석이 발견.. 조영선·과학 학습 도서 저자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