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파티션·인체 공학 의자 최초 개발… 지금의 사무실 풍경 만든 주역이죠 2024.02.20 (화)
지난 1월 미국을 대표하는 가구 브랜드 허먼 밀러가 25년 만에 로고를 재정비했어요. 과거의 유산을 존중하겠다는 태도를 잘 보여주는 디자인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전 로고에서는 원 안에 넣어 컴퓨터 아이콘처럼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고전 이야기] 베버 "개신교도는 직업을 소명으로 여겨… 금욕 정신이 자본주의 출발" 2024.02.20 (화)
즉 자본가와 기업가, 그리고 고급 숙련 노동자, 특히 기술적으로 또는 상업적으로 고도의 훈련을 받은 근대적 기업의 종업원들이 아주 현저하게 프로테스탄트적 성격을 지닌다는 것이다.'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숯이 된 폼페이 문서… 종이 질감 차이를 AI로 분석해 읽어 2024.02.20 (화)
손대지 않고도 책의 내용을 읽을 수 있는 마법이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친구들은 이 마법을 어떻게 쓸 것 같나요? 이는 마법이 아니라 실제로 구현 가능한 기술이랍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이를 활용해 화산 폭발로 망가..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1826년에 막대기로 화합물 젓다 우연히 발명… 머리 빨갛게 감싸 안전해졌어요 2024.02.19 (월)
지난 8일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냥개비 건물' 기네스북 최고 기록이 경신됐어요. 신기록의 주인공은 8년 동안 70만개가 넘는 성냥으로 만든 '모형 에펠탑'으로, 높이는 7.19m에 달합니다.그런데 '성냥 머리' 때.. 황은하 상경중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톡톡 튀는 작가 10인의 상상 속 고양이… 인간과 반려 동물의 관계 따뜻이 그려 2024.02.19 (월)
최은영 외 지음|출판사 자음과모음|가격 1만3000원고양이를 테마로 한 소설 열 편 모음이에요. 작가 열 명이 각자 개성을 담아 한 편씩 쓴 소설을 모았어요. 소설마다 고양이와 인간의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그려내요.. 김미향 출판 평론가·수필가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은둔 천재, 창의적 연주… 임윤찬·조성진이 매일 듣죠 2024.02.19 (월)
스마트폰이 거의 모두의 필수품이 되면서, 음악 감상이 취미인 사람들의 모습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과거 음반을 구입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방식에서, 이제는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스트리밍하는 방법으.. 김주영 피아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신문은 선생님]
[생활 속 경제] 변동금리에서 이자율 오를 것 감안… 대출 한도 줄어들어 2024.02.15 (목)
Q. '스트레스 DSR' 제도가 시행될 예정이라는 기사를 봤어요. 제도 시행 전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얘기도 있고요. 스트레스 DSR이 뭔가요?A. 26일부터 '스트레스 DSR' 제도를 단계적으로 시행합.. 김나영 서울 양정중 사회과 교사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망고 안 열려도 풍성한 나무 보면서 진정으로 사랑·존중하는 법 깨달아 2024.02.15 (목)
파라는 망고 나무를 사랑해!사르탁 신하 지음 | 강수진 옮김 | 출판사 찰리북 | 가격 1만5000원"파라는 망고를 사랑해요." 책을 펼치면 다짜고짜 이런 문장이 등장해요. 사랑하는 이유가 있냐고요? 책에선 그런 건.. 김성신 출판 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대한제국 영빈관… 건립 2년 뒤 외교권 빼앗겨 무용지물로 2024.02.15 (목)
최근 국립고궁박물관이 발간한 소장품 도록 '조명기구'에서 대한제국 궁궐의 대형 샹들리에를 소개했어요.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이 세운 조명 회사인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에서 만든 제품이에요. 특징은 장식에 대한제국 ..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34] '본뜨다'와 '본따다' 2024.02.14 (수)
*비행기는 새의 모습을 (본따서, 본떠서) 만들었다.*푸른 용의 해를 맞아 용 모양을 (본딴, 본뜬) 제품 출시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본떠서' '본뜬'입니다. 그런데 '본뜨다'를 '본따다'로 잘..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