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세상에 도전장을 내민 여성 발명가들… 냉장고, 다리미, 와이파이 등 탄생했죠
2021.02.01 (월)
-
슈퍼우먼 슈퍼 발명가ㅣ산드라 우베 지음ㅣ윤승진 옮김ㅣ신무연 감수ㅣ마음이음ㅣ1만2500원발명가들 덕분에 우리 삶은 무척 편리해졌어요. 인터넷, 텔레비전, 스마트폰이 발명되면서 세상이 바뀌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죠. 발명..
박사 북 칼럼니스트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사건] 챌린저호 폭발
2021.01.28 (목)
-
1986년 오늘 미국의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공중에서 폭발했습니다. 챌린저호는 발사와 동시에 불꽃을 보이면서 73초 만에 화염에 휩싸였어요. 챌린저호는 인공위성 궤도에 오른 다음 우주에서 원격으로 학교 강의, 우주 ..
최원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다각형 중 가장 튼튼하고 안정적… 자유의 여신상, 에펠탑 안에도 삼각형 있어요
2021.01.28 (목)
-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으로 캠핑이 인기입니다. 캠핑엔 텐트가 필수인데요. 텐트는 야외에서 잠을 자거나 생활할 때 사용하는 소형 천막입니다. 텐트는 고대 아시리아 문명에서부터 현재 북아프리..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실수투성이지만 두근거리는 첫사랑… 자신을 먼저 사랑하는 힘이 중요해요
2021.01.28 (목)
-
첫사랑 라이브조규미 지음ㅣ창비ㅣ208쪽ㅣ1만2000원첫사랑은 두근거림으로 시작해요. 상대의 미소에 볼이 빨갛게 달아오르고, 눈만 찡끗해도 가슴이 설레죠. 친구와 데이트가 있는 날이면 한껏 멋을 내고, 멋진 대화를 하..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식물 이용해 만든 최초 약… 100년 지나서도 효능 계속 발견돼
2021.01.28 (목)
-
코로나 백신 개발에 식물이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식물에 주입해 면역 반응을 유도한 뒤, 나중에 식물을 수확해 특정 물질을 추출해요. 그리고 이 물질은 다양한 공정을 거쳐 백신 후보..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 있는 세계사] 2차 세계대전 때 독일 제트 전투기 완벽 제압했대요
2021.01.28 (목)
-
지난 4일 미국 조폐국이 새롭게 발행한 25센트 동전의 뒷면에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공군 장병이 등장했습니다. 미 조폐국은 "2차 세계대전 당시 파시즘(전체주의)과 싸운 이들의 영웅적인 행동과 성취를 기리기 위해..
서민영 경기 함현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법학에세이] 5만여명 희생된 비극… 마녀로 찍히면 살아남기 어려웠죠
2021.01.27 (수)
-
우리가 잘못을 저지르면 법에 따른 재판을 받아 유무죄가 결정됩니다. 그런데 종교와 정치가 구분되지 않았던 중세 사회에선 신의 뜻을 담은 책인 경전을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는 절대적인 법으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경전의 ..
곽한영 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332
2021.01.27 (수)
-
영국 왕립 통계학회는 매년 그해를 대표하는 숫자를 발표합니다. 이들이 선정한 2020년을 대표한 수는 '332'였습니다. 332는 과학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서열을 알아낸 날(1월 11일)부터 처음으로 인류..
최원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77] '일사불란'과 '일사분란'
2021.01.27 (수)
-
*국립중앙의료원 찾은 총리 "코로나 환자 분류, 병상 확보 등 (일사분란/일사불란)하게 관리해야"인터넷에 있는 한 기사 제목입니다. 위 문장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일사불란'입니다. ..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인공위성과 AI로 바다 위 '노예선' 찾아내요
2021.01.27 (수)
-
바다에는 하루에도 수많은 어선(漁船)이 쉬지 않고 물고기를 잡습니다. 전 세계 어선 수는 456만척에 달해요. 그런데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일하다 보니 감시하는 눈이 없어서인지 어선에서 일하는 선원들 중에는 거의 노..
김형자 과학 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