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17세기 과학자들이 개념 제시… 존재 증명은 수학자가 했어요 2022.05.19 (목)
최근 전 세계 과학자들이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새로운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어요. 2019년 최초로 블랙홀의 실제 모습을 관측한 이후 두 번째예요. 블랙홀은 모든 질량이 중심부에 모인..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새끼 낳는 누, 먹잇감 사냥하는 맹수… 생명력 넘치는 역동적인 모습 담아냈죠 2022.05.19 (목)
초원우미정 지음 l 출판사 책고래 l 가격 1만3000원"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한 백 년 살고 싶어."1972년 가수 남진이 발표한 '님과 함께'라는 노래의 일부인데요. '초원..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신라 장군들, 높이 130㎝ 정도 조랑말 타고 전투했어요 2022.05.19 (목)
서울 송파구에 있는 한성백제박물관에서 다음 달 12일까지 '서울에서 만나는 경주 쪽샘 신라고분' 특별전을 열어요. 쪽샘 유적은 경주 시내 중심지에 있는데, 천마총·황남대총 등 초대형 고분이 있는 대릉원(大陵苑) 동쪽.. 기획·구성=조유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43] '막내딸'과 '막냇동생' 2022.05.18 (수)
*덕혜옹주는 조선왕조 최후의 황녀로 고종의 (막내딸, 막냇딸)로 태어났다.*(막내동생, 막냇동생)이 용돈을 모아 할머니께 카네이션과 선물을 사 드려 너무 대견했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차례대로 '막내딸' '막냇동생..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여우처럼 주둥이 튀어나온 원숭이… 관악기 같은 울음소리 내요 2022.05.18 (수)
인도양 마다가스카르섬에 사는 여우원숭이 인드리(Indri)가 멸종 위기에 처했어요. 사는 숲이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주민들은 인드리가 내는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는 게 아닐까 걱정이 크다고 합니다...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거리에 돈 굴러다니고… 하루에 물가 두 배 뛰기도 했죠 2022.05.18 (수)
지금 전 세계는 인플레이션(Inflation)에 대한 두려움으로 떨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은 물건 값이 계속 오르면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올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김밥, 라면, 삼겹살 값 같은.. 서민영 함헌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4800년 전 이집트가 최초 건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때 처음 만들었죠 2022.05.17 (화)
5월 중순부터 한반도에 때 이른 장마가 찾아올 수 있다고 해요. 장마철이 되면 수해(水害)를 입을 가능성도 커지게 되는데요. 이때 늘어나는 강물을 통제하기 위해 우리나라에는 많은 댐이 설치돼 있습니다. 댐은 어떤 역..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고전 이야기] '아무 데도 존재하지 않는 곳'이란 뜻… 자본주의 초기 불평등과 양극화 풍자 2022.05.17 (화)
유토피아 사람들은 모든 쾌락 가운데 무엇보다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고, 이걸 가장 높이 칩니다. 대부분 쾌락은 덕(德)을 실천하고 올바른 삶을 깨닫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영국 법률가이자 정치가 토머스 모어(147..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온도 높을수록 푸르게 빛나… 클수록 수명 짧아요 2022.05.17 (화)
밤하늘의 별은 모두 같은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별들은 지구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모두 달라요. 북극성 주변에 있는 국자 모양의 별들인 북두칠성을 예로 들어볼게요. 국자 끝에 해당하는 두베는 지구에서 약 .. 이지유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청계천 다슬기 모양 조형물도 부부가 같이 만들었대요 2022.05.16 (월)
5월 21일은 '부부의 날'이에요.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뜻에서 21일로 정해졌다고 하는데요. 예술가 중에서도 남편과 아내가 한마음으로 지혜와 손을 모아 창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렇다면 개인의 이름보..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