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63] '에두르다'와'애두르다' 2020.10.22 (목)
* 그 정치인은 현안에 대해 (애둘러/에둘러/엇돌려) 말하지 않았다.위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골라 보세요. 많은 사람이 헷갈리는데, 정답은 '에둘러'입니다. '에두르다'의 활용형이지요. '에두르다'는 '에워서 둘러..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원하는 DNA 자르고 붙이고… 오류 가능성 4조분의 1이래요 2020.10.22 (목)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었어요. 유전자를 교정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UC버클리 교수와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장이 공동 수상했지요. 두 사.. 안주현 박사·서울 중동고 과학 교사
[신문은 선생님]
[IT 따라잡기] '전기차의 왕' 일론 머스크… 바퀴 달린 컴퓨터를 만들다 2020.10.21 (수)
이제 도로 곳곳에서 '전기차'를 보는 게 어렵지 않죠. 이런 전기차 열풍의 선두에 서 있는 건 미국의 전기 자동차 회사 '테슬라(Tesla)'랍니다.◇성공한 몽상가, '괴짜' 일론 머스크지금의 테슬라를 만든 인물은 .. 최호섭·IT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로마 제국이 세운 '모든 신을 위한 신전'… 돔은 우주, 원형 구멍은 태양 상징해요 2020.10.21 (수)
이탈리아 로마에는 수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남아 있지만 유독 건축가와 예술가가 찬탄을 내뱉는 건축물이 있습니다. 판테온(Pantheon)입니다. '모든 신을 위한'이란 뜻의 그리스어 '판테이온'에서 유래한 이 건축물은.. 전종현·디자인 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숫자] 538 2020.10.21 (수)
다음 달 3일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져요. 미국 대선은 우리나라 대선과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진행돼요. 우리나라는 유권자들이 후보자에게 직접 투표하는 '직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지죠. 하지만 미국 대선은 유권자들이.. 박세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44년간 무슬림과 기독교도 내전… '자원의 저주' 받은 국가로 꼽혀요 2020.10.21 (수)
최근 국제 단체인 컨선월드와이드와 세계기아원조가 공동 발표한 '2020년 세계 기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기아(배고픔)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는 '차드(Chad)'로 나타났어요. 영양 결핍 인구 비.. 박의현·서울 창덕여중 지리 교사
[화폐로 세상 읽기]
'오만과 편견'이 대표작… 영국인들이 셰익스피어 다음으로 손꼽는 작가래요 2020.10.20 (화)
영국의 10파운드(약 1만5000원) 지폐<사진>에는 영국의 소설가 제인 오스틴(1775~1817)이 그려져 있습니다. 제인 오스틴은 1999년 영국 BBC방송의 '지난 1000년간 최고의 문학가' 설문 .. 배원준 세계화폐연구소장
[신문은 선생님]
[세상을 바꾼 물건] 당나라서 뼈에 돼지털 붙여 발명…첫 대량생산은 1780년 영국 '위즈덤 칫솔' 2020.10.20 (화)
우리는 어려서부터 이를 닦는 양치 교육을 열심히 받아왔죠. 그런데 이 양치질이 동서양 문명의 교류 때문에 오늘날의 형태가 됐다는 걸 알고 있나요? 칫솔은 동양에서, 치약은 서양에서 발명된 것이기 때문입니다.칫솔 발명..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고대 키프로스의 왕… 자신이 만든 조각상과 사랑에 빠졌죠 2020.10.20 (화)
올해는 영국의 희곡 작가 조지 버나드 쇼(1856~1950)가 사망한 지 70년 되는 해예요. 1925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그의 작품 중 오늘날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건 희곡 '피그말리온'입니다.그리스 신화.. 최여정·'이럴 때 연극'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독일군 암호 해독·NASA 컴퓨터 해킹… 온라인 세상 뒤흔든 '컴퓨터 천재' 이야기 2020.10.20 (화)
해커|톰 잭슨 글|크리스티나 구이티안 그림|김은영 옮김|청어람 아이|96쪽|1만3000원이 책은 암호화폐, 가짜뉴스, 망중립성, 다크웹, 사물인터넷, 소셜네트워크 등 온갖 인터넷 이슈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어요... 박사 북칼럼니스트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