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김주영의 클래식 따라잡기] "할렐루야" 합창 때 일어선 조지 2세… 청중 기립 전통됐죠

입력 : 2020.12.07 03:30

헨델의 메시아

어느 계절에 들어도 항상 좋지만, 12월에 들어야 그 감동이 커지는 클래식 음악이 있습니다. 바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1685-1759)이 작곡한 오라토리오 '메시아'입니다. 여기서 '메시아'는 구세주인 예수를 뜻하는데요. 예수의 생일인 크리스마스 시즌에 집중적으로 연주되는 곡이에요. 오늘은 헨델과 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악의 어머니

헨델은 같은 해에 태어난 바흐가 '음악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진 것과 반대로 '음악의 어머니'로 불립니다. 그래서 어린이들은 헨델을 여성으로 착각하곤 합니다. 바흐는 작곡 방식 중 대위법을 주로 사용했어요. 대위법은 멜로디 여러 개를 동시에 사용해 씨줄 날줄을 엮듯이 조화롭게 구성해가는 방식이에요. 반면 헨델은 그와 대조적으로 멜로디가 하나고 다른 성부들은 그 멜로디를 반주하는 방식인 화성음악을 많이 만들었어요. 가정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하는 일이 서로 달라도 똑같이 중요한 것처럼, 동갑내기인 두 작곡가가 상반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기에 한 명은 음악의 아버지, 다른 한 명은 음악의 어머니라는 별명이 붙었죠.

1750년 영국 파운들링 병원 자선 연주회에서 메시아를 공연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에요. /위키피디아
1750년 영국 파운들링 병원 자선 연주회에서 메시아를 공연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에요. /위키피디아
◇당대 최고 오페라 작곡가

헨델은 독일 할레에서 태어났어요. 어려서부터 음악에 대한 재능을 타고났어요. 1702년 헨델은 함부르크를 거쳐 이탈리아로 가서 음악 공부를 했습니다. 헨델은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이탈리아의 오페라 스타일을 익히고 1711년 영국으로 건너가 작곡가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어요. 유명한 아리아 '울게 하소서'가 들어 있는 오페라 '리날도'(1711)가 크게 성공하면서 헨델은 당대 최고의 인기 오페라 작곡가가 됩니다. 1714년 영국 앤 여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조지 1세가 헨델을 적극적으로 후원하면서 그의 명성은 더욱 커졌죠. 오페라 '율리우스 카이사르'(1723), '크세르크세스'(1734) 등에 나오는 아리아들은 지금도 널리 연주되며, 야외 공연을 위해 만들어진 '수상음악'(1715)이나 '왕궁의 불꽃 음악'(1749) 등은 화려한 연주 효과와 볼거리로 왕족과 귀족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할렐루야 합창 땐 기립 전통

헨델의 인생 후반기에 오페라만큼 정열을 기울였던 분야가 오라토리오였습니다. 원래 뜻이 교회 안에 있는 '기도소'인 오라토리오는 음악과 함께 연기와 동작이 이루어지는 오페라와 달리 줄거리를 설명하는 해설자가 등장합니다. 해설자가 레치타티보(낭송)로 내용을 설명하면 여기에 따른 독창자들의 아리아와 합창이 번갈아 나오는 구성으로 진행되죠. 헨델의 최고 걸작이자 히트작인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1741년 9월 완성돼 이듬해 4월 13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초연되었는데, 첫 공연부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약 2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는 대작인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1부는 예언과 예수의 탄생. 2부는 수난과 속죄, 3부는 부활과 영원한 생명이라는 주제를 갖고 있죠.

'메시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곡은 2부의 마지막에 나오는 합창 '할렐루야'입니다. 이 곡은 밝고 힘찬 악상과 금방 친숙해지는 멜로디로도 인기가 있지만, 런던 공연 당시 있었던 일화로 더 많이 알려졌죠. 1743년 3월 23일 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극장에서 있었던 연주에서 당시 참석한 국왕 조지 2세가 '할렐루야'가 연주되자 감격한 나머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습니다. 왕이 일어나자 청중 모두가 따라서 일어나서 연주를 들었고, 이후 '메시아' 공연에서 '할렐루야' 합창이 나오면 청중들이 모두 자리에서 일어서는 것이 전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헨델은 그 후에도 15곡이나 되는 오라토리오를 더 작곡했습니다. 1759년 4월 그가 세상을 떠나기 8일 전 마지막 참석한 음악회도 '메시아' 공연이었으니, 이 곡이 그의 음악 세계 전부를 설명하는 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김주영 피아니스트 기획·구성=최원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