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이탈리아 통일 이끈 의용군… 군복 대신 도살장 노동자 옷 입었죠 2020.09.23 (수)
이탈리아에서 시칠리아 다음으로 큰 섬이기도 한 사르데냐섬은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입니다. 이탈리아 통일을 주도한 인물인 주세페 가리발디(1807~1882)가 이곳을 근거지로 했던 사르데냐 왕국 출신이기 때문이지요.. 윤서원·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법학 에세이] 2대 애덤스 대통령의 판사 임명 효력 다퉈… 1803년 사상 첫 위헌법률심판 2020.09.23 (수)
미국 여성 운동과 진보 세력의 큰 버팀목이었고, 미국 역사상 두 번째 여성 대법관이었던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이 세상을 떠났다는 뉴스가 전해졌어요. 미 연방대법원은 9명의 판사에게 종신 임기를 보장하기 때문.. 곽한영·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이야기] 르네상스·바로크 뒤섞은 日 '근세부흥식' 건축… 1926년 완공 당시 동양서 가장 거대했대요 2020.09.23 (수)
올해는 일제에 주권을 빼앗긴 '경술국치'가 일어난 지 110년이 되는 해죠. 1945년까지 한반도를 식민 통치하고 수탈했던 기관인 '조선총독부' 청사<사진>는 역사의 아픔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축물이었습니.. 전종현·디자인 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우물'이라는 뜻을 가진 레바논 수도… 유럽·아시아 잇는 '중동의 파리'였죠 2020.09.23 (수)
지난달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사진>에서 대형 폭발 사고가 발생해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어요. 베이루트는 약 180만 명의 시민이 거주하는 레바논 최대 도시예요. 페니키아어로 '우물'이라는 뜻이죠. 바.. 박의현·서울 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사건] 우리나라 최초 소설 '금오신화' 최고본 발견 2020.09.22 (화)
1999년 9월 21일 김시습(1435~1493)이 쓴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 현존 최고본이 중국의 한 도서관에서 발견돼 공개됐어요. 그때까지 확인된 가장 오래된 '금오신화' 판본은 일본에서 발견된 165.. 박세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화폐로 세상 읽기] "여긴 백인석이다"에 저항… 32세 미용사가 세상을 바꿨다 2020.09.22 (화)
영연방 국가인 캐나다는 화폐의 주인공으로 역대 남성 총리들과 영국 엘리자베스2세 여왕을 싣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2018년 캐나다 중앙은행이 '캐나다 10달러' 지폐에 비올라 데즈먼드(1914~1965) 를 넣겠.. 배원준 세계화폐연구소장
[신문은 선생님]
[세상을 바꾼 물건] 고대 이집트인이 정한 '1년=365일'… 로마 율리우스력부터 '윤년' 도입했죠 2020.09.22 (화)
일주일, 한 달, 12개월로 나누는 오늘날 달력 기준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인류는 기원전 3500년쯤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부터 달이 차고 기우는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을 약 29일로 보는 '음력'을 만들..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처음엔 코미디로 연출했다가 혹평 받아… '비극'으로 바꿔서 대성공 2020.09.22 (화)
안톤 체호프(1860~1904)는 러시아 문학에서 절정의 수준을 보여준 단편소설 작가이자 희곡 작가입니다. 프랑스의 모파상, 미국의 오 헨리와 함께 '세계 3대 단편 소설가'로 꼽히죠. 여기에 더해 전 세계에서 가장..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벼슬 대신 예술 벗 삼은 '선비 화가'… 그의 자화상은 국보 240호랍니다 2020.09.22 (화)
시대를 앞서간 선비화가 윤두서|박은순 글|나무숲|48쪽|1만500원매서운 눈을 한 남자가 험상궂은 표정으로 정면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네요. 뜻밖에도 이 그림의 주인공은 온화하고 겸손하기로 소문났던 선비 화가인 윤두서.. 박사 북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모던보이의 '핫플'… 처음엔 '남대문역'으로 불렀죠 2020.09.18 (금)
이번 추석 서울의 귀성객들은 서울역, 용산역 등에서 열차를 타겠지만, 2004년 고속철도인 KTX가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많은 귀성객이 몰리던 곳은 옛 서울역사였답니다. 그런데 옛 서울역의 이름이 '남대문역'이었다.. 유석재 기자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