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세상을 바꾼 물건] 고대 이집트인이 정한 '1년=365일'… 로마 율리우스력부터 '윤년' 도입했죠

입력 : 2020.09.22 03:30

달력

일주일, 한 달, 12개월로 나누는 오늘날 달력 기준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인류는 기원전 3500년쯤 메소포타미아 문명 때부터 달이 차고 기우는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을 약 29일로 보는 '음력'을 만들었다고 해요. 당시 시간의 변화를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천체는 오직 달이었기 때문이죠.

오늘날 달력인 그레고리력을 만든 예수회 신부 클라비우스. /위키피디아
오늘날 달력인 그레고리력을 만든 예수회 신부 클라비우스. /위키피디아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양력'은 기원전 3000년쯤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세워진 이집트 문명에서 비롯된 것이에요. '음력'이 달의 공전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달력이라면, 양력은 지구의 공전주기(365.25…일)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달력입니다. 지구의 계절 변화나 기온의 변화가 사실 달이 아니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양력이 더 효율적이었죠.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강의 범람을 통해 지구의 태양 공전주기를 파악했는데요. 그런데 나일강이 범람할 즈음에는 항상 하늘에서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별이 빛났다고 해요. 이집트 사람들은 시리우스 별의 고도를 기준으로 매년 나일강의 범람 시기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1년을 365일로 하는 태양력을 만들어냈습니다.

오늘날 달력은 이집트 태양력을 그대로 사용하는 건 아니에요. 지구의 공전주기가 365일이라는 건 어디까지나 소수점 아래를 반올림한 '근삿값'입니다. 이 오차는 1년만 따지면 그리 큰 차이가 아니지만, 점점 누적되면 달력상 날짜와 계절의 변화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게 돼요.

그래서 고대 로마에서는 이집트 태양력과 기존 음력을 개정해 기원전 46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을 딴 '율리우스력'을 만들었답니다. 종전 10개월이었던 월 수를 12개월로 늘리고, 4년마다 2월달에 하루(2월 29일)를 더하는 '윤년'을 도입한 것도 이때죠. 윤년은 지구의 공전주기 오차를 4년마다 한 번씩 잡아주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수백년이 지나니 또 실제 계절과 달력상 날짜가 어긋나는 일이 벌어졌어요. 그래서 이를 보완한 것이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의 이름을 딴 '그레고리력'입니다. 예수회 신부이자 독일 출신 수학자인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가 설계한 것이죠. 그는 4년마다 윤년을 도입하되 400의 배수를 제외한 100의 배수인 해에는 윤년을 적용치 않는 식으로 규칙을 조금 바꾸었어요. 이렇게 되면 100의 배수인 1900년의 2월은 윤년이 아니지만, 400의 배수인 2000년의 2월은 윤년이 된답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때 만든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