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휘익' '끽끽' '키득키득'… 울음소리 아름다워 '바다의 카나리아'로 불려요
2024.10.30 (수)
-
최근 우리나라 한 수족관에서 5년째 홀로 머물고 있는 벨루가(beluga) 고래의 딱한 사연이 전해졌어요. 원래 세 마리가 있었다가 친구 둘이 병들어 죽으면서 혼자가 됐대요. 수족관 측이 바다로 돌려보내겠다고 했지만..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한때 '대영제국' 식민지들, 지금은 인구 27억 국제 연합체죠
2024.10.30 (수)
-
영국의 찰스 3세 국왕 부부가 최근 호주를 방문했습니다. 호주는 영국의 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는 영(英)연방 국가인데요. 왕이 호주를 방문한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인데도 호주 국민들은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였대요. ..
윤서원 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11월 중등 NIE 강좌 수강생 모집
2024.10.30 (수)
-
조선일보 NIE 교육센터에서 11월부터 시작하는 중등 NIE 강좌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NIE(신문 활용 교육)는 시사·인문·과학 등 다방면의 기사를 읽으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입니다. 매주 신문을 함께 읽다..
-
-
-
- [신문은 선생님]
-
[철학·인문학 이야기] "올바르게 얻은 부귀는 부끄럽지 않다"… '日 자본주의의 아버지' 경제관이죠
2024.10.29 (화)
-
시부사와 에이이치(1840~1931)는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라고 불립니다. 유능한 경제 관료였던 그는 민간 분야로 진출해 금융·철도·물류 등 다양한 분야의 회사를 세웠어요. 그가 설립에 관여한 회사가 도쿄전력,..
안광복 중동고 철학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조선 영조 임금이 사랑한 고추장… 없으면 밥 못 먹을 정도였대요
2024.10.29 (화)
-
최근 미국 식당가에서 고추장을 사용한 메뉴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해요. 햄버거 브랜드 '쉐이크쉑'은 고추장을 넣은 한국식 치킨 양념으로 치킨 샌드위치를 만들어 판대요. 매콤하고 달콤한 맛을 내는 한국의 대표 양념 고..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사라지는 빙하 지키기 위해… 100m 높이 '수중 커튼' 세워요
2024.10.29 (화)
-
기후변화로 지구가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 뉴스를 많이 봤을 거예요. 최근 세계기상기구(WMO)가 발표한 보고서가 화제가 됐는데요. 지구 기온이 점점 올라 작년이 역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다고 합니다. 작년 지구 평균..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무대위 인문학] 저물어가는 산업도시 출신 주인공, 꿈 좇아 고정관념에 맞서죠
2024.10.28 (월)
-
뮤지컬을 볼 때 어떤 부분이 가장 재미있게 느껴지나요? 주연배우의 멋진 연기와 가창력, 화려한 춤과 조명, 계속 흥얼거리게 만드는 음악들. 이 모든 것이 어우러질 때 뮤지컬의 재미를 더하죠. 그런데 뮤지컬의 배경이 ..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탑에 갇힌 라푼젤이 전당포 주인으로? 현대로 온 동화 속 주인공들의 변신
2024.10.28 (월)
-
바리는 로봇이다강성은 외 7인 지음|출판사 안온북스|가격 1만5000원'바리데기' 설화를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설화는 딸만 일곱인 왕이 일곱째 딸 바리데기를 버리면서 시작됩니다. 바리데기는 버림받았지만 훗날 아..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회초리·소쿠리·싸리비 재료… '싸리' 이름 들어간 식물만 90여 종
2024.10.28 (월)
-
'싸리'라고 하면 뭐가 먼저 떠오르나요? 싸리는 가늘면서도 적당한 탄력과 강도를 갖추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많이 쓰였어요. 굵은 줄기는 다발로 엮어 울타리와 대문(사립문)을 만들고, 가는 줄기들은 다듬어 발, 회초리..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
-
-
- [신문은 선생님]
-
[기후와 날씨] 40년간 날씨 데이터 학습… 날씨 예측도 인공지능이 한대요
2024.10.24 (목)
-
요즘같이 일교차가 클 때는 아침마다 꼭 일기 예보를 확인해야 해요. 그런데 날씨는 어떻게 예측하는 걸까요? 선조들은 옛날부터 공기 흐름이나 해, 달, 구름 모양을 보고 다음 날 날씨를 예측했어요. "달무리가 지면 비..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