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345] '배지'와 '뱃지'
2024.05.15 (수)
-
* 국회의원 (배지, 뱃지, 뺏지)는 99% 은(銀)으로 만들어지고 소량의 금으로 도금된 것이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골라 보세요. 정답은 '배지'입니다. 배지(badge)는 신분 따위를 나타내거나 어떠한 것을 기..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둥글게 나는 엄니… 계속 자라면 얼굴까지 파고든대요
2024.05.15 (수)
-
최근 미국 샌디에이고 동물원이 한 동물의 영상을 소셜미디어에 올렸어요. 우리나라 멧돼지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털은 짧고 얼굴에는 엄니(크고 날카롭게 발달한 포유동물의 이빨)가 길고 둥글게 돋아 있었죠. 이 동물은 바비..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무슬림들은 일생에 한 번 메카에 있는 '카바 신전' 방문해야
2024.05.15 (수)
-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으로 몸살을 앓던 이탈리아 베네치아가 지난달 25일부터 관광객들을 상대로 도시 입장료를 받기 시작했어요. 입장료는 당일치기 관광객 한 사람당 5유로(약 7400원)라고 해요. 시 당국은 공휴일..
정세정 장기중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맛있는 한자' 무료로 신청하세요
2024.05.15 (수)
-
조선일보는 만화 한자 학습지 '맛있는 한자'를 매주 토요일에 발행합니다. 조선일보 구독자라면 무료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구암 허준의 일대기를 담은 이야기가 연재되고 있습니다. 만화를 통해 재미있게 한자를 공..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미켈란젤로가 '천지창조' 그린 기법… 500년 넘게 덧칠해오다 1980년대 복원
2024.05.14 (화)
-
한국과 이탈리아 수교 140주년을 기념해 열린 '폼페이 유물전-그대, 그곳에 있었다'가 지난 6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2000년 전 고대 로마인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기회로,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어요..
-
-
-
- [신문은 선생님]
-
[디자인·건축 이야기] 정약용이 만든 실용적인 기계들 덕에 10년 걸릴 공사 3년도 안 돼 끝냈죠
2024.05.14 (화)
-
지난달 수원 '화성행궁'이 119년 만에 원형 그대로 복원됐어요. 화성행궁은 평상시에는 관청으로 사용되다가 임금이 수원에 행차할 때는 임금과 수행 관원이 머무는 궁실로 이용된 곳입니다. 일제강점기에에 크게 훼손됐다가..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세계 최대 '티라노 화석', 발굴까지 20년 가까이 걸렸어요
2024.05.14 (화)
-
국립과천과학관은 오는 8월 25일까지 새로운 공룡 화석을 전시합니다. 티라노사우루스의 화석으로 '스코티(Scotty)'라고 불려요. 올해는 '공룡 화석'이 학계에 공식적으로 발표된 지 20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갑자기 헤어진 단짝, 개와 로봇… 행복했던 추억 덕분에 버텼죠
2024.05.13 (월)
-
사라 바론 지음|출판사 놀|가격 1만9800원주인공 상황을 설명하는 지문이나 대사 하나 없이 그림만으로 감동적인 스토리를 전달하는 책이에요. 때로는 백 마디 말보다 하나의 장면이 더 큰 울림을 주기도 하는 법이지요...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계란프라이' 닮은 꽃… 개망초와 달리 줄기 속 비어 있죠
2024.05.13 (월)
-
요즘 공터 등에서 흰 꽃잎에 가운데는 노란색을 띤 꽃이 무더기로 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꽃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개망초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그러나 요즘 피는 것은 대부분 봄망초로, 개망초와는 약간 다..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클래식 따라잡기] 과장없는 완벽 연주… 학생이 우선이었던 '호랑이 선생님'
2024.05.13 (월)
-
오는 7월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세계적인 첼리스트들이 모이는 성대한 첼로 페스티벌이 열립니다. 한국의 양성원, 일본의 쓰쓰미 쓰요시·우에노 미치아키, 미국의 게리 호프만 등 신예부터 중견까..
김주영 피아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