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지진 일으키는 활성 단층… 지금까지 밝혀진 건 16개래요 2024.06.25 (화)
지난 12일 전북 부안군 행안면에서 규모 4.8의 큰 지진이 발생했어요. 호남권 내륙에서 규모 4.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래요. 본진(本震)이 발생하면 그 영향으로 작은 규모의 여진이 발생하는데요...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로봇 점원이 파는 인공육·자율주행차… 30년 후 상점서 만날 물건 상상해 봐요 2024.06.24 (월)
곽재식 지음|출판사 다른|가격 1만4500원앞으로 우리가 만나게 될 물건들과 그로 인해 변화할 세상에 대해 예측해 보는 책이에요. 2050년 미래에 있는 3층짜리 상점을 구경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어요. 저자가 과학..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잎은 대나무 잎, 꽃은 복사꽃 닮은 상록수… 잎·가지에 독 있으니 손대지 말아야 2024.06.24 (월)
요즘 서울 시내 골목을 걷다 보면 가끔 큼지막한 화분에 잎이 댓잎(대나무 잎)처럼 생겼고 꽃은 복사꽃처럼 생긴 붉은 꽃이 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협죽도 꽃이 피기 시작한 것입니다.협죽도는 인도와 유럽 동부가 원산..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국제 규모만 120개… 한국은 1960년대부터 1위 차지했죠 2024.06.24 (월)
한국의 젊은 연주자들이 국제 음악 콩쿠르(concours)에서 빼어난 성적을 거뒀다는 기쁜 소식을 종종 접하지요. 프랑스어로 콩쿠르는 '경연 대회'를 일컫는 말입니다. 콩쿠르의 어원을 보면 '함께(con) 뛴다(co.. 김성현 문화전문기자
[신문은 선생님]
[생활 속 경제] 어디서든 쉽게 화폐로 바꿀 수 있어… 세상이 불안할수록 찾는 곳 많아 가격 올라요 2024.06.20 (목)
Q. 손주 돌 선물을 사러 금은방에 갔다가 깜짝 놀랐어요. 순금 한 돈으로 만든 돌 반지 가격이 40만원을 훌쩍 넘더라고요. 금값 때문에 그렇다고 하는데, 왜 갑자기 금 가격이 오른 건가요?A. 금은 인류 역사 속 .. 연유진 '뉴스로 키우는 경제 지능'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과학 현상들… 압도적인 이미지로 보여줘 흥미 돋워 2024.06.20 (목)
과학의 눈잭 챌로너 지음|변정현 옮김|출판사 초사흘달|가격 3만5000원이 책은 우주처럼 너무 크거나 세포나 원자처럼 너무 작아서 인간이 눈으로는 보기 어려운 세계, 혹은 애당초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어떤 이..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아버지는 배재학당, 딸은 이화여대 초석 놓았죠 2024.06.20 (목)
미국 하와이에 사는 한·미 청소년들이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을 찾아갔어요. 학생들은 이곳을 방문해, 이승만 대통령이 다닌 배재학당을 설립한 헨리 아펜젤러 목사의 가묘(假墓)에 꽃을 바쳤다.. 김다인 이화역사관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50] '창난젓'과 '명란젓' 2024.06.19 (수)
* 젓갈은 각종 요리의 양념이면서 밥반찬, 술안주 등으로도 쓰인다. 근래에는 삼겹살 먹을 때 쌈장, 소금 대신 새우젓, 명란젓, 창란젓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위 문장에서 틀리는 말을 찾아 보세요. 바로 '창란젓'입니..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이틀 간격 두고 알 하나씩 낳아… 먼저 태어난 새끼가 덩치 제일 커 서열 높아요 2024.06.19 (수)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세 나라 협력의 상징으로 따오기를 얘기했어요. 한때 멸종되다시피 한 따오기 복원을 위해 세 나라가 힘을 합친 결과, 개체 수가 증가해 한국·일본·중국 모..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노르망디 해변 5곳에 연합군 투입… '2차 대전' 흐름 바꿨죠 2024.06.19 (수)
지난 6일 프랑스 서북부 노르망디의 오마하 해변에서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기념식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25국 정상이 참석했지요. 마크롱 대통령은 ".. 윤서원 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