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381] '열띠다'와 '앳되다'
2025.02.12 (수)
-
*신경외과 전문의 15명이 학회에 모여 열띈 토론을 벌였다.*집회엔 대학생은 물론 앳띤 얼굴의 중고생도 보였다.최근 보도된 기사의 일부입니다. 어느 부분이 틀렸을까요? '열띈'은 '열띤'으로, '앳띤'은 '앳된'으로..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복슬복슬한 털 가진 낙타 친척… '우우' 콧소리 내며 감정 표현도 해요
2025.02.12 (수)
-
얼마 전 영국에서 훈훈한 뉴스가 전해졌어요. 한 요양원에서 지내고 있는 76세 할머니의 생일에 알파카가 찾아왔다는 소식인데요. 반려동물 가게를 운영했다가 지금은 치매를 앓고 있는 할머니의 소원이 바로 복슬복슬한 털을..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英 고립시키려 벌인 무역 전쟁… 나폴레옹 몰락 앞당겼죠
2025.02.12 (수)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어요.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캐나다·멕시코 등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에 타격을 줄 전망이에요. 미국은 자동차·..
서민영 계남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봄학기 초등 NIE 수강생 모집
2025.02.12 (수)
-
조선일보 NIE교육센터에서 '2025 초등NIE 봄학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NIE(신문 활용 교육)는 시사·인문·과학 등 다방면의 기사를 읽고 생각하는 수업입니다. 매주 신문을 함께 읽고 토론하면 자연스레 어휘력..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1916년 들어선 우리나라 최초 공항… 여의도 공원, 사실 공항이었죠
2025.02.11 (화)
-
지난 설 연휴엔 휴일이 길어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많았는데요. 인천국제공항에서는 제시간에 출국 심사를 받지 못할까 봐 비행기 출발 3~4시간 전에 도착하는 사람도 많았죠. 그런데 예전엔 공항이 이렇게 많은 사람이..
황은하 상경중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 이야기] "배가 부를 때까지 먹고 마시지 말라" 벤저민 프랭클린이 전하는 13가지 덕목
2025.02.11 (화)
-
"나는 사람과 사람의 거래에서는 진실, 성실, 정직을 지키는 것이 제일 중요하고 그래야 인생의 축복이 온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살아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실천할 결심을 종이에 써놓았는데, 아직도 일기장에 그 내용이 ..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기후 변화 대비해 인공섬 연결한 '해상 도시' 짓는대요
2025.02.11 (화)
-
최근 대형 산불, 폭설, 폭염, 가뭄 등 여러 이상기후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요. 이상기후 때문에 원래 살던 곳을 떠나는 '기후 난민'도 늘고 있죠. 이는 곧 우리 모두에게도 닥칠 수 있는 문제예요. 인류는 지구..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명화 돋보기] 하늘에 닿으려는 인간의 욕망… '거대 흉물'로 여기기도 했죠
2025.02.10 (월)
-
오는 15일에는 한국의 남산서울타워와 일본의 도쿄타워가 동시에 점등될 예정이에요. 한국과 일본의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인데요. 서울과 도쿄를 대표하는 두 타워는 미세 먼지 수준이나 계절 변화에 따라 조..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사인한 '소변기'가 예술 작품 된 이유… 예술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 알려줘요
2025.02.10 (월)
-
예술에 대한 여덟 가지 답변의 역사김진엽 지음|출판사 우리학교|가격 1만7000원예술이란 무엇일까요? 각자 머릿속에 떠오르는 작품이 있을 겁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 렘브란트의 '야경', 미켈란젤로의 ..
표정훈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겨울 정원 가득 채우는 향기… 매화 피기 전 한겨울에 노란색 꽃 피우죠
2025.02.10 (월)
-
요즘처럼 추운 겨울에도 꽃 소식을 전해오는 나무가 있습니다. 바로 납매입니다. 중국 원산의 납매는 우리나라에서는 1월 말이나 2월이면 꽃을 피웁니다. 1년 중 가장 춥다는 절기인 소한과 대한이 끝나면 바로 꽃을 피우..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