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재미있는 과학]
소나무가 늘 푸른 건 뾰족한 잎 덕분 2014.02.25 (화)
소치 동계올림픽이 17일간의 긴 여정을 마쳤어요. 동계올림픽이 열린 소치는 러시아 최남단에 자리해 겨울 날씨가 비교적 온화하지만, 러시아 대부분의 지역은 겨울에 영하 30℃를 넘나드는 혹독한 추위를 보여요. 시베리아..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스케이트 '날'은 종목 따라 달라요 2014.02.18 (화)
"클랩스케이트의 경쾌한 소리가 경기장에 울려 퍼집니다.""지금의 점프는 스케이트 날의 토 부분을 이용한 기술입니다."소치 동계올림픽이 벌써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어요. 그런데 금메달을 딴 이상화 선수의 스피드스케이팅.. 조영선·과학학습도서 작가
[재미있는 과학]
스케이트장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2014.02.11 (화)
드디어 소치 동계올림픽이 시작되었어요. 동계올림픽이 하계올림픽과 가장 다른 점은 경기가 바로 눈과 얼음 위에서 진행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동계올림픽 종목은 눈 위에서 이루어지는 '설상(雪上) 종목'과 얼음 위에서 펼..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키 크고 싶다면 '콩' 많이 먹으세요 2014.02.04 (화)
"앗! 또 밥에 콩이 있네? 엄마, 콩 빼고 먹으면 안 돼요?""안 돼! 키가 쑥쑥 크고 힘이 세지고 싶다면 꼭 먹어야 해."여러분은 콩밥을 좋아하나요? 아마 콩밥보다는 흰 쌀밥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더 많을 거예요...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왜 가오리연에는 꼬리가 있을까? 2014.01.28 (화)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인 설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어요. 설은 그립던 친척을 만나는 데다 세뱃돈도 받을 수 있어서 여러분이 더욱 기다리는 명절이기도 하지요. 게다가 설에는 재미있는 풍속놀이를 많이 해요. 윷놀이, 제기차..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이름이 가장 많은 생선은? 2014.01.21 (화)
동태, 생태, 황태, 북어, 코다리, 노가리….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름이지요? 바로 우리 식탁에 자주 올라오는 생선 이름이에요. 동태와 생태로는 찌개를, 황태로는 찜을, 북어로는 국을 만들기 좋지요. 부르는 이름..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통증이 우리 몸을 보호해준다고? 2014.01.14 (화)
"앗, 뜨거워! 혀를 델 뻔했어.""아야! 여기 뾰족한 게 튀어나와 있잖아!"우리는 생활 속에서 아픔을 느끼는 경우가 잦아요. 과일을 깎다가 손을 베었을 때, 방 문턱에 발가락을 찧었을 때, 뾰족한 물건을 깔고 앉았..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민물고기는 바다에서 살 수 없다고요? 2014.01.07 (화)
"화천 산천어축제에 오세요." "평창 송어축제에 오세요."해마다 이맘때면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겨울 축제가 열려요. 그중 산천어, 송어, 빙어 등을 잡는 얼음낚시 축제는 최고의 인기를 누리지요. 그런데 얼음낚시를 할..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말도 '신발' 신어야 더 잘 달릴 수 있대요 2013.12.31 (화)
2014년은 갑오년(甲午年), 말의 해예요. 여러분은 '말'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멋진 갈기를 휘날리며 힘차게 달리는 모습이 떠오르지 않나요? 자동차나 기차, 비행기가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말이 가장 빠.. 조영선
[재미있는 과학]
산타도 몰랐을 '루돌프 빨간 코의 비밀' 2013.12.24 (화)
"루돌프 사슴 코는 매우 반짝이는 코~""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겐 선물을 안 주신대요~"여러분은 '크리스마스'라고 하면 뭐가 떠오르나요? 반짝반짝 빛나는 크리스마스트리, 빨간 옷을 입고 선물을 나누어 주는 산타.. 조영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