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꽃 주제로 AI와 대화하며 고치다보면 나만의 느낌 담아낸 멋진 시 완성돼요
2023.12.07 (목)
-
공민수 지음 | 출판사 리틀에이 | 가격 2만2000원"이제 인공지능과 나눈 대화를 바탕으로 시를 써달라고 해 보자." "선생님, 시가 써지긴 했는데 뭔가 정보만 들어간 것 같아요. 제가 느낀 점들..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칠장사 승려 출신… 토지 면적대로 세금 매기는 개혁했죠
2023.12.07 (목)
-
최근 경기 양주 대모산성에서 목간(木簡)이 출토됐습니다. 목간이란 글씨를 적은 나뭇조각을 말해요. 그런데 전문가가 이 목간의 123글자를 검토한 결과, 신라·후백제와 함께 후삼국시대 나라였던 태봉(후고구려·901~9..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324] '때우다'와 '떼우다'
2023.12.06 (수)
-
*돈을 아끼려 유통기한이 지난 값싼 편의점 음식으로 끼니를 (때우는, 떼우는) 젊은이가 늘고 있다고 한다.*"우리 지역 연계 맞춤형 돌봄 교실은 시간만 (때우다, 떼우다) 가는 곳이 아닙니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거북·바위·선박에 딱지처럼 달라붙어… 껍데기 속 다리 여섯 쌍 있어요
2023.12.06 (수)
-
얼마 전 우리나라 대학원생이 바다거북에 달라붙은 따개비를 분석해 거북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연구로 국제 학술 대회에서 상을 받았어요. 어민들의 골칫덩이로 알려진 따개비가 멸종 위기종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근대 법률·세금 정착…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퍼트렸죠
2023.12.06 (수)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769~1821)의 모자가 지난달 19일 경매에서 사상 최고가 192만2000유로(약 27억3000만원)에 낙찰됐어요. 나폴레옹은 유럽 근대사를 송두리째 바꾼 인물이에요. 그는 군인으로서 혁명 ..
정세정 장기중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디자인·건축 이야기] 45년째 동업 중인 동갑내기 소꿉친구… 낡은 런던 화력발전소, 미술관으로 바꿔
2023.12.05 (화)
-
요즘 우리나라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 사무소가 몰리고 있어요. 대규모 국제 설계 공모가 많이 열리기 때문이에요. 해외 건축가를 지명해 초청하는 공모도 많고요.스위스 바젤에 기반을 둔 글로벌 건축 사무소 '헤르조그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설탕 185도로 녹여 과일에 바르면 유리 같은 비결정체로
2023.12.05 (화)
-
새콤달콤한 과일에 달콤한 설탕을 두른 디저트인 탕후루의 인기가 높습니다. 마치 유리를 뒤집어씌운 듯 투명한 설탕 코팅은 과일을 더욱 먹음직스럽게 만듭니다. 우리가 아는 설탕은 흰 가루인데 어떻게 이렇게 만드는 걸까요..
오가희 과학칼럼니스트·과학 콘텐츠 제작사 'OhY LAB.' 대표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불안이라는 마음속 재난 닥치면 당황 말고 찬찬히 원인 찾아봐요
2023.12.04 (월)
-
김강윤 지음|출판사 자음과모음|가격 1만6000원수많은 도전과 실패 끝에 베테랑 소방관이 된 저자의 책이에요. 미래가 보이지 않아 불안한 청소년들에게 '마음속 재난' 탈출법을 알려주죠. 공부, 인간관계, 자신감, 미..
김미향 콘텐츠 스타트업 에디튜드 대표·작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열매는 낙하산 거꾸로 펼친 듯… 꼬리명주나비 애벌레의 유일한 먹이
2023.12.04 (월)
-
요즘 냇가 등을 지나다 보면 씨방이 허공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열매를 볼 수 있습니다. 실처럼 가느다란 줄에 낙하산을 거꾸로 펼쳐 놓은 듯한 모습이라면 쥐방울덩굴 열매입니다.쥐방울덩굴은 숲이나 논 가장자리 등에서 ..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되' '돼' 헷갈리면 '하' '해'로 바꿔보세요… 우리말 달인이 알려주는 정확한 맞춤법
2023.11.30 (목)
-
아주 쉬운 말인데 자주 틀리는 말이 있어요. 바로 동사 '되다'의 활용형이에요.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씩 '되다'라는 말을 쓸 거예요. 그런데 이 말을 글로 쓸 때 '되'를 써야 하는지 '돼'를 써야 하는지 구별하..
김성신 출판 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