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꿈에서 본 무릉도원 풍경을 화폭에 생생하게 펼쳤죠
2022.11.10 (목)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 작가의 작품 3점을 오는 14일까지 서울 중구 명동의 전광판에 송출한다고 해요. 그중 하나는 '몽유도원도'를 동시대 관점으로 재해석한 '신-몽유도원'이라고 합니다. 한편 서..
기획·구성=조유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68] '헤매다'와 '헤매이다'
2022.11.09 (수)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모든 것을 헤맨 마음 보내드려요. 낙엽이 사라진 날 헤매인 여자가 아름다워요."굵은 글씨로 표시한 말 중 한 개는 맞고 한 개는 틀렸어요. 어느 것이 틀렸을까요? '헤매인'은 '헤맨'을 ..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지렁이처럼 생겼지만 양서류… 1.5m 넘게도 자라며 소리 낸대요
2022.11.09 (수)
최근 국제 과학 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소리를 낼 수 없는 줄 알았는데 소리를 내는 것으로 밝혀진 동물들에 대한 연구 결과가 소개됐어요. 그중에는 무족영원(사진·無足蠑螈)도 있었죠. "꺽" 하는 콧소리를 낼 ..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전사자 기린다더니… 2차 대전 'A급 전범'도 포함했죠
2022.11.09 (수)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달 17일 도쿄 지요다구에 있는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貢物)을 보냈어요. 이날 시작되는 추계 예대제(제사)를 맞아 '자민당 총재 기시다 후미오' 이름으로 '마사카키(제단에 바치는 상록수..
서민영 함현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단순함 추구하는 네덜란드 예술 운동… 추상화 대가 몬드리안이 제안했어요
2022.11.08 (화)
추상화의 선구자로 불리는 네덜란드 출신 화가 피터르 몬드리안(1872~ 1944)의 작품 '뉴욕 시티1'(1941)이 77년간 거꾸로 걸려 있었다는 주장이 최근 미술계에서 나왔어요. 올해 몬드리안 탄생 150주년을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신체의 70%는 물… 콧물도 하루 1L 흐르며 병균 막아줘요
2022.11.08 (화)
최근 코로나와 함께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이 확산하고 있대요. 호흡기 질환의 대표 증상 중 하나는 콧물인데요. 사람의 몸은 70% 가까이 물로 이뤄져 있고, 이 물들은 한시도 고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신을 거듭해요...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노아의 방주'와 대홍수 이야기, 빙하기 기후변화 반영된 거래요
2022.11.07 (월)
화성 탐사선을 탄 걸리버곽재식 지음 | 출판사 문학수첩 | 가격 1만6000원이 책은 SF(과학소설) 소설가이자 공학 박사인 저자가 쓴 교양 과학 에세이입니다. 그는 책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문학 작품 13편을..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담쟁이덩굴처럼 줄기 뻗으며 자라… 가짜 꽃 피워 곤충 유인한대요
2022.11.07 (월)
제주도나 울릉도 등 섬 지방의 숲속에서는 자기 홀로 서지 못하고 바위나 나무의 줄기에 기대어 사는 덩굴식물을 볼 수 있어요. 이 중 우리나라의 자생 수종(나무의 종류나 종자)이면서도 일반인에게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詩에 경건한 멜로디 붙여 세상 떠난 이들 위로했죠
2022.11.07 (월)
지난달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난 참사로 많은 이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갑작스럽게 가족과 이별한 슬픔은 말로 헤아리기 어렵겠지요.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이들의 아픔을 위로할 수 있는 음악을 소개해볼까 ..
기획·구성=조유미 기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몰래 소풍 따라간 걱정 많은 초보 엄마… 어느새 성장한 아이 모습 발견했어요
2022.11.03 (목)
엄마가 간다!김진미 글·그림|출판사 길벗어린이|가격 1만4000원아침부터 엄마가 굉장히 분주하네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동물원으로 소풍을 가는 날이에요. 엄마는 김밥을 싸면서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요. '이 정도 ..
김성신 출판평론가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