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슈토론] 윤초 적용 논란
2015.11.27 (금)
-
윤초(閏秒)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지구가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하루입니다. 하루를 세슘원자시계로 측정하면 8만6400초로 나뉘는데, 1972년부터 세계 각국은 이 시계를 표준시의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런..
이승철·NIE팀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이야기] 세상에서 소외된 '뫼르소'… 그의 본심은 들리지 않았어요
2015.11.26 (목)
-
"우리 사회에서 자기 어머니의 장례식에 울지 않은 사람은 누구나 사형 선고를 받을 위험이 있다."〈이방인〉(1942)의 작가 카뮈가 자신의 작품에 관해 남긴 말이에요. 이방인이란 낯선 사람, 다른 곳에 속한 사람을 ..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대만·중국 '형제 나라'로 이어준 영웅
2015.11.26 (목)
-
지난 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대만 총통이 싱가포르에서 처음으로 손을 맞잡았습니다. 66년 만의 만남이었어요. 1949년 국민당이 대만으로 옮겨간 후에 중국과 대만의 최고 지도자가 단 한 차례도 마주한 ..
공미라 세계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종교이야기] 죽으면 현세로 돌아오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
2015.11.25 (수)
-
집안 어르신이 돌아가신 날, 일가친척이 밤에 모여서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는 전통 관습을 제사라고 해요.커다란 보름달을 보며 송편을 먹는 추석, 새롭게 뜨는 태양을 보며 떡국을 먹는 설날에도 온 가족이 모두 힘을 합쳐..
곽상학·온누리교회 교육 목사(경인고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심리이야기] 여러 명 모이면 '가면' 뒤에 숨게 돼요
2015.11.25 (수)
-
지난 14일, 서울 세종대로 등 도심 일대에서 6만8000여 명이 모인 '민중 총궐기' 시위가 있었어요. 과격한 시위로 경찰관이 다치고 경찰차가 부서졌다는 주장과, 경찰의 무리한 진압으로 시민이 부상했다는 주장이 엇..
곽금주·서울대 교수(심리학)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한국 야구 실력처럼 튼튼한 돔구장… 어떻게 지붕 올렸을까?
2015.11.24 (화)
-
최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국가별 야구 대항전 '프리미어12'에서 한국이 일본·미국 등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해 많은 사람이 감동했어요. 지난 16일 서울 구로구 고척스카이돔에서는 청룡기 고교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아하! 이 음식] 상하거나 마르지 말라고 과일 표면을 코팅했지요
2015.11.23 (월)
-
가을에 먹는 감귤이나 자몽이 반들반들한 이유를 아시나요? 가식성(可食性·먹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코팅제로 과일 표면을 코팅하기 때문이랍니다. 과일이 농부의 손을 거쳐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썩거나 표면이 말라버..
박현진 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내년이면 수교 130주년… 싸운 적도 있지만 오랜 친구
2015.11.23 (월)
-
지난 11월 13일 금요일 밤,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는 끔찍한 연쇄 테러 사건이 일어났어요. 극장과 식당 등 여러 곳에서 총기 난사와 폭발, 인질극 등의 테러가 한꺼번에 벌어졌어요.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사람이 파..
지호진 어린이 역사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슈토론] 리셀러(reseller) 싹쓸이
2015.11.20 (금)
-
'리셀(resell)'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말 그대로 물건을 사서 되파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하기 힘든 한정판 제품을 사서 웃돈을 얹어 다시 파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리셀러(re..
박준석·NIE팀
-
-
-
- [신문은 선생님]
-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공부방 장식했던 물고기… 우주를 상징하기도 했지요
2015.11.20 (금)
-
전 세계에는 무려 2만5000종이 넘는 물고기가 살아요. 이렇게 많은 물고기는 풍부한 식량 자원이 될 뿐만 아니라 세계 종교, 전설 또는 신화 속에서 여러 가지 상징으로도 쓰여요.예를 들어 절에 가면 나무를 깎아 물..
이명옥·사비나 미술관 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