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종교이야기] 죽으면 현세로 돌아오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
입력 : 2015.11.25 03:09
기독교는 왜 제사 안 지낼까요?
집안 어르신이 돌아가신 날, 일가친척이 밤에 모여서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는 전통 관습을 제사라고 해요.
커다란 보름달을 보며 송편을 먹는 추석, 새롭게 뜨는 태양을 보며 떡국을 먹는 설날에도 온 가족이 모두 힘을 합쳐 음식을 잘 차려서 조상님들을 정성껏 모시는 차례(茶禮·음력 초하룻날, 보름날, 명절의 낮에 지내는 제사)를 지내지요. 효를 중시하는 우리 민족에게는 조상을 기리고 추모하는 제사가 매우 중요한 풍속이에요.
그런데 기독교인은 제사 때 조상님께 절을 하지 않아요. 이 때문에 간혹 친척들 간 종교 갈등이 생기기도 하지요. 조상도 못 알아보는 서양 종교가 우리 전통문화를 배격한다는 오해도 생겼어요. 과연 기독교는 조상을 인정하지 않고 제사를 철폐하는 패륜적 종교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아요. 사실 기독교를 제사의 종교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구약 성경에는 많은 제사가 등장해요. 기독교는 조상의 조상으로 계속 거슬러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하나님을 섬기는 제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요.
- ▲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마음은 같지만 기독교의 추모 예배(왼쪽)와 유교 전통의 제사(오른쪽)는 제사상의 유무부터 달라요. 기독교에서는 다른 종교인 친척과 함께 제사를 지내느라 제사상을 차리는 것까지는 인정하지만, 절 대신 기도를 하도록 하지요. /이태경 기자·남강호 기자
전통적 관점에서는 제사가 현실적으로 꼭 필요한 일이에요. 조상님이 제삿날 찾아오셔서 식사하고 가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제사를 지낼 때 음식 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놓는 것도 그런 맥락이지요. 그러나 기독교는 음식을 차리고 조상을 추모하는 것까지는 동의하지만, 제사상 앞에서 조상님께 절하는 데엔 동의할 수 없다고 한답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은 절을 하지 않고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추모 예배를 하지요.
기독교와 전통 관습의 갈등은 옛날 사도 시대(기원후 30~100년·예수가 부활 승천한 후 그의 제자들이 활동하던 시기)에도 있었다고 해요. 당시 예수를 믿지 않는 다른 민족이 건네는 제사 음식을 먹어도 되는지 날카로운 논쟁이 벌어졌어요. 사도 바울은 다른 민족이 준 제사 음식을 먹어도 몸에는 아무 상관이 없음을 잘 알고 있었으나, 복음(예수가 인류에게 가져다 준 구원에 대한 좋은 소식)을 따르느라 먹지 않았어요. 기독교도와 비기독교도 간에 제사 음식을 나눠 먹는 것보다, 서로 사랑을 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지요. 기독교도·비기독교도가 한자리에 모였을 때, 제사상 앞에서 절을 해야만 하는지 논쟁하다 보면 갈등은 더욱 깊어질 거예요. 서로 깊이 사랑하고 각자 가진 생각을 이해함으로써 가치관의 틈을 메우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