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고전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거대 선인장, 식인종… 150년 전, 상상으로 빚어낸 아프리카 모험기 2019.11.27 (수)
이번의 시도가 성공하면 아프리카 대륙의 지형에 관한 단편적 지식들을 통합하고 그것을 완전하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기구를 타고 5주간'은 '80일간의 세계 일주' '해저 2만리' 등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 작가 쥘.. 장동석 출판평론가·'뉴 필로소퍼' 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패배했지만 빛났던 저항정신'… 조지 오웰이 기록한 스페인 내전 2019.11.13 (수)
나는 신문 기사를 쓸까 하는 생각으로 스페인에 갔다. 하지만 가자마자 의용군에 입대했다. 그 시기, 그 분위기에서는 그것이 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유일한 일이었기 때문이다.'카탈로니아 찬가'는 조지 오웰(1903~1..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2차대전 포로로 도살장 갇혔던 작가, 경험 토대로 反戰 소설 썼죠 2019.10.30 (수)
이 모든 일은 실제로 일어났다, 대체로는. 어쨌든, 전쟁 이야기는 아주 많은 부분이 사실이다.제목부터 덜컥 겁을 먹게 만드는 '제5도살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작가 커트 보니것(1922~2007)이 실제로 ..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살 만한 땅' 소개한 조선 후기 실용서, 자연·경제에 인심까지 고려 2019.10.16 (수)
"터를 잡고 살 만한 땅을 고르는 조건은 지리가 최우선이고, 생리가 다음이다. 다음은 인심이고, 그다음은 산수이다. 네 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라도 빠지면 살기 좋은 땅이 아니다."흔히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169..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19세기 산업화 시대, 짐승이 되어가는 인간을 고발하다 2019.10.02 (수)
'자크는 소스라치게 놀랐다. 킁킁거리는 짐승의 소리, 식식거리는 멧돼지 소리, 으르렁거리는 사자 소리가 들려온 것이다. 그는 조용히 주위를 살폈다. 그것은 자신의 거친 숨소리였다.'에밀 졸라(1840~1902)는 '..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낡은 신데렐라 서사? 섬세한 성격 묘사로 여전히 사랑받죠 2019.09.18 (수)
"재산깨나 있는 독신 남자에게 아내가 꼭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진리다."지금은 결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했지만, 18세기 말 영국에서는 결혼이 인생을 좌우하는 선택이었어요. 여성에게는 더욱 그랬죠.제인 .. 장동석 '뉴필로소퍼' 편집장·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일본에 관한 인류학적 분석… '전쟁과 평화 모두 사랑하는 이중성' 2019.09.04 (수)
일본인은 미국이 지금까지 전력을 기울여 싸운 적 가운데 가장 낯선 적이었다.'일본을 가장 깊이 있게 들여다본 책'으로 손꼽히는 '국화와 칼'의 한 구절입니다. 이 책은 사실 특별한 목적을 갖고 쓰였어요. 미국 국무부.. 장동석 '뉴필로소퍼' 편집장·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역사란 나와 상대가 투쟁한 기록'… 신채호가 감옥서 쓴 역사서 2019.08.21 (수)
"역사란 무엇인가.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적으로 발전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심적(心的) 활동(活動)의 상태에 관한 기록이다."단재 신채호 선생이 쓴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의 첫 ..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좌충우돌하는 안나도, 성장하는 레빈도 모두 톨스토이의 분신 2019.08.07 (수)
세상에는 모든 행운을 두루 갖춘 경쟁자를 만났을 때 그 즉시 상대방의 장점을 모두 외면하고 단점만을 보려는 사람들이 있다. 반대로 그 행복한 경쟁자에게서 무엇보다 그에게 승리를 안겨 준 장점들을 발견하려 하고 가슴이.. 장동석 '뉴필로소퍼' 편집장·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인간은 왜 사랑을 할까? 성숙한 사랑이란 무엇일까? 2019.07.24 (수)
사랑은 기술인가? 기술이라면 사랑에는 지식과 노력이 요구된다.흔한 자기계발서에서나 볼 법한 이 글은 사회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의 첫 문장입니다. 프롬은 1976년 출간한 '소유냐 존.. 장동석 '뉴필로소퍼' 편집장·출판평론가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