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부지런했으나 의심 많고 조급해 명나라 망쳐
2023.11.22 (수)
중국에서 명나라 마지막 황제 숭정제(崇禎帝·1611~1644)를 다룬 한 역사서가 지난달 중순 갑자기 회수 조치되는 일이 일어났어요. 명나라 역사 전문가 천우퉁이 쓴 '숭정: 부지런히 정사를 돌본 망국 군주'라는 제..
서민영 계남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알립니다] 초등 NIE 겨울 학기 수강생 모집
2023.11.22 (수)
조선일보 NIE 교육센터에서 '2023 초등 NIE 겨울 학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NIE(신문 활용 교육) 수업은 시사·인문·과학 등 다방면의 기사를 읽고 생각하는 시간입니다. 개강 전까지 다른 학생을 추천하면 ..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美 1844년 전신망 첫 구축… 41년 뒤 우리나라에도 설치
2023.11.21 (화)
KT가 다음 달 15일부터 전보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어요. 전화와 이메일, 스마트폰 메신저 등을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즉각 연락이 가능한 요즘 시대에는 전보가 남아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울 수 있어요. 하..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세계 첫 '완전 개방형' 미술품 수장고… 건물 외관은 스테인리스 사발 닮았죠
2023.11.21 (화)
2028년 서울에 국내 최초 개방형 수장고가 생깁니다. 서초구 서초동 대법원 인근 옛 국군정보사령부 부지 일대에 들어설 예정으로, 소장품과 미술품 복원 과정을 볼 수 있게 된다고 해요. 수장고가 들어서면 서울시가 보..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300도 물 치솟는 '심해 온천'… 금속 비늘 가진 고둥 살아요
2023.11.21 (화)
최초의 생명체가 태어날 때 지구 환경은 어땠을까요? 과학자들은 심해에 있는 열수분출공(熱水噴出孔) 주변이 지구에 생명이 태어났을 당시 원시 바다 환경과 비슷하다고 추정해요. 열수분출공 주변에서 살고 있는 생물 구조도..
김형자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기술 발달의 재앙 '멋진 신세계'… AI 창시자 튜링의 삶
2023.11.20 (월)
오래전부터 인류는 과학 기술이 진보하면 더 나은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 꿈꿔왔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유토피아일까요, 디스토피아일까요. 이런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공연 두 편이 있습니다. 올..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휠체어 타고 돌아본 저자가 추천하는 장애인·노약자도 즐기기 좋은 여행지
2023.11.20 (월)
아름다운 우리나라 전국 무장애 여행지 39전윤선 지음|출판사 나무발전소|가격 2만2000원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났어요. 홀가분한 마음으로 주위를 돌아봐도 좋은 시기죠. 이 책은 장애 당사자인 저자가 휠체어를 타고 돌아..
김미향 콘텐츠 스타트업 에디튜드 대표·작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가을에서 봄까지 빨간 열매 주렁주렁… 아열대성 나무라 제주에서 주로 자라요
2023.11.20 (월)
가을이면 빨간 열매를 주렁주렁 맺어 눈길을 끄는 아름다운 나무가 우리 주변에 많아요. 제주도나 전남 여수·순천 등지 도심에서 가로수로 흔히 심어 즐기는 호랑가시나무 형제 '먼나무'도 그 한 예랍니다. 이름이 특이해 ..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남극 녹아 펭귄 죽고, 남유럽에선 겨울에 해수욕도
2023.11.16 (목)
"한겨울에 해수욕을 한다고요?" 올해는 기온이 올라가지 않아야 하는 계절이나 장소에 이상 고온이 발생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유럽 8국에선 1월 최고기온 기록이 1월 1일에 깨졌답니다. 체코 야보르니크가 19.6도, ..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야자나무 물 주고, 문래동 풍경 그리고… 평범하지만 소중한 할머니의 일상 담아
2023.11.16 (목)
문래동 할머니손혜진 글·그림|출판사 책고래|가격 1만8000원서울 남서쪽 영등포구에는 문래동(文來洞)이라는 동네가 있어요. 최초로 면화를 도입한 문익점의 아들이자 물레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지는 '문래'에서 따온 이름..
김성신 출판 평론가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