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명화 돋보기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모란은 부귀영화, 연꽃은 '군자의 덕' 상징했어요 2022.06.06 (월)
그림 속의 꽃은 향기는 없지만 시들지 않아 언제든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꽃은 전 세계 화가들이 즐겨 그린 소재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해바라기'라든가, 프랑스의 화가 클로드 모..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청계천 다슬기 모양 조형물도 부부가 같이 만들었대요 2022.05.16 (월)
5월 21일은 '부부의 날'이에요.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뜻에서 21일로 정해졌다고 하는데요. 예술가 중에서도 남편과 아내가 한마음으로 지혜와 손을 모아 창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렇다면 개인의 이름보..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原色에 대담한 붓질… '야수파' 화풍에 고향 풍경 녹여냈죠 2022.04.25 (월)
"그때는 경치 좋은 대동강변에서 사생(寫生·경치 등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일)을 자주 했지요. 자연을 보면서 감격하는 일이 잦았어요. 특히 해가 넘어갈 때의 석양, 황혼에 대한 감격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대..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1658년 '세계도해'가 최초…꽃·동물 등 다양한 소재 사용 2022.04.04 (월)
최근 우리나라의 이수지 작가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가 주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의 그림 작가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어요. 한국인으로는 처음인데요. 안데르센상은 '아동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세계..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평화가 승리한다면, 내가 그린 전쟁은 과거 이야기 될 것" 2022.03.14 (월)
전쟁에 반대하는 '반전(反戰)' 목소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전 세계로 퍼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남산타워와 서울시청 등 건물 외벽도 우크라이나 국기를 암시하는 노랑과 파랑 조명으로 환하게 밝혀졌죠. ..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눈 덮인 세상 때론 황량하게 때론 정겹게 묘사했어요 2022.01.24 (월)
올해 양력 1월 20일은 대한(大寒)이었어요. 우리 선조들은 태양이 1년간 한 바퀴 돌아가는 길을 스물네 마디로 나눴는데, 이를 24절기라고 부릅니다. 마지막인 스물네 번째 절기 대한은 '큰 추위'라는 뜻인데요. 사..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저승 門 열려 해골들이 이승에 와 즐기는 날이래요 2021.11.01 (월)
31일 '핼러윈'을 맞아 시내 곳곳에 사람들이 엄청나게 붐볐어요. 핼러윈이 영국과 미국의 전통 행사라면, 멕시코엔 11월 1일 '죽은 자의 날(Day of the Dead)'이 있답니다.이날은 멕시코 사람들에겐 아주..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루이 14세는 궁정화가에게 반려견 그림 그리게 했대요 2021.10.11 (월)
지난달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전체의 15%나 된다고 해요. 주변을 둘러보면 동물 병원과 미용실은 물론이고 반려동물과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카페 등 편의 시설도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사진보다 더 진짜 같은 그림… 완벽한 현실 반영 욕구 담아 2021.08.30 (월)
요즘 일본 도쿄에서는 패럴림픽(장애인 올림픽)이 열리고 있습니다. 두 팔이 없는 탁구 선수가 입으로 탁구채를 물고 서브를 넣는 모습, 양팔이 없는 수영 선수가 입으로 물을 뿜으며 기뻐하는 모습 등을 보면 위대하다는 .. 이주은·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피서철 풍경… 유럽은 강·바다, 한국은 계곡 그림 많아요 2021.08.02 (월)
여름철 폭염 후유증이 세계 각국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해 연어와 홍합 등 해양 생물이 시름시름 죽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폭염에 장시간 노출되면 사람도 건강을 해.. 이주은·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