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흙으로 빚어 만들어… 높이 95㎝ 불상 받침도 발견됐죠
2023.01.05 (목)
-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이번 달 29일까지 '백제 기술, 흙에 담다' 특별전을 열어요. 이번 전시회에서는 '흙'이라는 재료에 주목하여 백제인의 흙 다루는 기술과 흙으로 만든 소조상(塑造像)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죠. 그..
이병호 공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276] '단연코'와 '단언컨대'
2023.01.04 (수)
-
*뮤지컬 작품을 극화한 '영웅'에서 주인공을 맡은 배우는 (단언코, 단연코) 후회 없이 영화를 촬영했다고 말했다.*감독은 "(단언컨데, 단언컨대) 안중근 역할을 잘할 수 있는 최고의 배우"라고 그에 대한 신뢰를 보였..
류덕엽 교육학박사·전 서울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쥐처럼 작은 몸과 둥근 귀… 천적 가까이 오면 울음소리 낸대요
2023.01.04 (수)
-
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토끼띠해죠. '토끼' 하면 기다란 귀와 튼튼한 발로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모습이 먼저 떠오르는데요.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의 토끼와 전혀 다른 생김새를 한 토끼가 있답니다. 바로 '우는토끼(..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조국은 당신을 원한다" 강렬한 메시지 담았죠
2023.01.04 (수)
-
"꼬마는 떠났고 사내는 남았다."최근 러시아 정부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에 이런 문구가 나와요. '꼬마'는 전쟁을 피하려고 다른 나라로 도망치는 남성, '사내'는 전쟁에 참가하려고 조국에 남은 남성을 뜻하죠. CNN에..
정세정 장기중 역사 교사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NIE 중등·예비중 1월 개강
2023.01.04 (수)
-
조선일보 NIE교육센터에서 2023년 중등 NIE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NIE(신문활용교육) 수업은 시사 이슈를 구조화하여 이해하는 훈련을 합니다. 수행평가 및 논술·면접 등에 도움이 되며 토론 실력도 향상됩니다. ..
-
-
-
- [신문은 선생님]
-
[디자인·건축 이야기] 사람처럼 표현한 오즈월드·벅스 버니… 두 점과 X로 얼굴 그려낸 미피도 있죠
2023.01.03 (화)
-
2023년은 계묘년(癸卯年)이에요. 계는 '흑색', 묘는 '토끼'를 의미해서 '검은 토끼의 해'라 한답니다. 예로부터 영리하고 풍요를 상징하던 토끼는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사랑받는 동물인데요. 토끼를 의인화해서 만든..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눈이 가볍고 부드러울수록 스키 타기 좋아요
2023.01.03 (화)
-
올겨울엔 유독 많은 눈이 내리고 있죠. 함박눈이 펑펑 내리다가 갑자기 싸락눈으로 바뀌어 후드득 떨어지더니 어느새 진눈깨비가 쏟아지는 풍경까지 연출됐어요. 다양한 종류의 눈 중에 겨울철 운동에 적합한 눈은 어떤 것일까..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무대 위 인문학] 맹세에서 저격까지… 안중근 의사 생애 마지막 1년 다뤘죠
2023.01.02 (월)
-
1909년 2월, 매서운 겨울바람이 부는 러시아 연해주 남단 크라스키노. 흰 눈이 덮인 자작나무 숲에 안중근 의사(1879~1910)와 독립운동 동지 11명이 모였습니다. 안 의사는 왼손 넷째 무명지를 잘라내 태극기..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일찍, 충분히 자고 새벽에 일어나면 꿈 이룰 수 있는 여유 시간 생겨요
2023.01.02 (월)
-
나의 하루는 4시 30분에 시작된다김유진 지음|출판사 토네이도|가격 1만5000원새해가 시작됐어요. 이 책은 새 마음, 새 뜻으로 아침 일찍 일어나려는 결심에 용기를 더해줍니다. 변호사인 저자가 새벽에 일어나면 좋은..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열매는 감이랑 비슷한데 크기가 훨씬 작고 씨는 많대요
2023.01.02 (월)
-
가을에 수확한 감이 겨울철 곶감으로 말라갈 무렵, 숲속 가지 끝에 남아있던 고욤나무 열매도 검붉은색으로 마르기 시작합니다. 고욤나무는 감나무와 같은 속(屬)으로, 우리나라와 유라시아 대륙의 따뜻한 온대 지방에 자생하..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