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철학·인문학 이야기] '내 뜻대로 돼야 한다' 집착 갖지 말라… 고통에서 벗어나는 석가모니의 지혜 2024.09.10 (화)
"괴물과 싸우는 자는 괴물이 되지 않으려 노력해야 한다."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말입니다. 맞아요. 우리는 싸우면서 은연중에 서로 닮아가지요. 나도 이기고 살아남아야 하니까요. 하지만 그 결과가 과연 행복으로 이.. 안광복 중동고 철학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1930년대 독일은 일자리 만들고 물건 나르려 3000㎞ 넘는 아우토반 만들었죠 2024.09.10 (화)
민족 대명절인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매년 추석과 설이 되면 고향을 떠나 서울 등 도시에서 근무하거나 대학에 다니는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른바 '민족 대이동'이 벌어지는데요. 정부는 '추석 민생 안정 대책..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빗물에 녹는 석회암과 무리한 지하 공사에 싱크홀 생겨요 2024.09.10 (화)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한 도로를 달리던 차량 한 대가 갑자기 땅속으로 사라졌어요. 땅이 갑자기 꺼져서 큰 구멍이 생겼기 때문이에요. 구멍 크기가 무려 가로 6m, 세로 4m에다 깊이가 2.5m나 ..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무대위 인문학] 순정 만화서 보기 힘든 남자 같은 여주인공 등장했죠 2024.09.09 (월)
일본 순정 만화계의 개척자라 불리는 이케다 리요코의 '베르사유의 장미'는 1970년대 일본을 넘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만화입니다. 이 만화가 창작 뮤지컬로 제작되어 현재 공연 중이에요. 뮤지컬 '베르사유의 장미'..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상상 훈련한 펠프스, '생각 주간' 빌 게이츠… 유명인들 노력 살펴보며 진로 고민해 봐요 2024.09.09 (월)
꿈을 찾는 10대를 위한 진로수업정형권 지음|출판사 성안당|가격 1만7000원청소년들이 진로를 탐색하고 성찰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북이에요.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례와 인물들의 이야기가 책에 담겨 있어요...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푸른빛 도는 자주색 꽃으로 벌 유인… 쨍쨍한 날 꽃잎 활짝 펼쳐져요 2024.09.09 (월)
아름다운 가을 야생화 '용담'은 비교적 높은 산의 햇빛 잘 드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랍니다. 흔히 고산 초원의 풀꽃들이 무리 지어 있는 것과 달리 용담은 홀로 자라지요.용담의 줄기는 해마다 땅속줄기나 뿌리에서 새로 나..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올해 역대급 폭염 만든 두 고기압… 힘 잃으면 곧 가을 온대요 2024.09.05 (목)
연극에서 무대 장막이 내려갔다 올라올 때가 있어요. 새로운 '막'이 시작되는 거죠. 1막이 끝나고 2막이 될 때 주인공이나 무대 장치가 변하기도 하고, 중심 내용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대자연의 흐름에선 각각의 '계절.. 장동언 기상청장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조선 시대 양반집 서자로 태어나 신분 차별 극복하고 왕실 화가 됐죠 2024.09.05 (목)
임순영 지음|임소정 그림|출판사 글라이더|가격 1만5000원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검은색 비단 위에 찬란한 금으로 산수를 그린 조선 시대 그림을 만날 수 있어요. 절벽 위에는 커다란 소나무, 절벽 끝에는 누각이 그려져..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분단 초래' 비판받은 연설… 넉 달 전 북한엔 사실상 정부 들어섰죠 2024.09.05 (목)
내년부터 학생들이 쓰는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 교과서 9종 중 8종이 1946년 6월 이승만(1875~1965)의 '정읍 발언'을 소개하면서, 충분한 전후 맥락에 대한 설명 없이 한반도 분단 고착화의 원인으로 보이게 ..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61] '또박또박'과 '따박따박' 2024.09.04 (수)
*세비는 따박따박 받아가면서 민생 법안 처리에는 소홀한 국회의원들에 대한 원성이 자자하다.위 문장에 쓴 '따박따박'은 맞는 표현일까요? 틀리는 표현입니다. '또박또박'으로 고쳐야 해요.'또박또박'은 '또박또박 말하다..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