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9세기 중동서는 뼈·상아·은으로 만들어… 서울대는 바늘 없는 주사기 개발 2023.04.11 (화)
코로나 방역 조치가 풀려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곳이 많아지자 독감 환자가 늘어나는 부작용이 생겼다고 해요. 마스크를 쓰면 코로나와 함께 독감도 예방할 수 있는데, 마스크를 벗자 독감에 걸리는 사람이 많아진 거예요.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고전 이야기] 자기 자신에 대한 지나친 관심 멈추고 이웃에 따뜻한 시선 가져야 행복해져요 2023.04.11 (화)
행복한 사람은 자신의 뒤를 이어 태어나는 사람들과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죽음을 생각할 때도 괴로워하지 않는다.20세기를 대표하는 지성으로 불리는 영국의 철학자이자 작가 버트런드 러셀(1872~19..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42년 만에 여성 우주복 생겨… 2025년 달 탐사 때 입는대요 2023.04.11 (화)
지난달 15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인들이 입을 새 우주복을 공개했습니다. 1981년 처음 우주복을 만든 이후 42년 만에 디자인을 바꾼 거예요. 새로운 우주복의 이름은 'AxEMU'(Axiom Extrav.. 이윤선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여성이라 침묵한 어머니의 백지 일기… 저자 자신의 이야기로 채워나가요 2023.04.10 (월)
빈 일기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 지음 | 출판사 낮은산 | 가격 1만5000원이 책은 어머니와 가족, 자연, 여성과 환경 운동, 그리고 창작과 예술에 대한 경험을 다루고 있는 논픽션 회고록이에요.이 책은 저자가 어머니..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꽃은 조선시대 여성 '족두리' 모양… 뿌리줄기에서 생강 맛 난대요 2023.04.10 (월)
봄이 되면 항아리 모양의 짙은 자주색 꽃이 잎에 가려진 채 땅 근처에서 숨어 피는 흥미로운 식물이 있어요. 꽃 모양이 조선시대 예복에 착용하는 여성용 모자 '족두리'를 닮은 '족도리풀'이에요.족도리풀은 숲속이나 가장..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셰익스피어 비극… '맥베스 부인' 양심의 가책 묘사 탁월 2023.04.10 (월)
이번 달 27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는 주세페 베르디(1813~1901)의 오페라 '맥베스'를 공연합니다. 올해 국립오페라단이 베르디 탄생 210주년으로 준비한 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이에요... 기획·구성=김윤주 기자
[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이해할 수 없는 기후 현상… 모조리 먹어치우는 美 영화 외계 생명체서 이름 따왔대요 2023.04.06 (목)
미국의 한 마을에 외계 생명체가 나타납니다. 끈적이는 덩어리같이 생긴 이 생명체는 처음 발견한 사람을 시작으로 병원의 간호사·의사 등 보이는 사람들을 다 먹어 치웁니다. 이 생명체는 문을 닫으면 문틈으로 들어오고 총..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유명 그림책 '월리를 찾아라'처럼 도시 골목 사람들의 생활 담았죠 2023.04.06 (목)
우리 모두의 하루김현주 지음 | 출판사 바이시클 | 가격 1만5000원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에선 어린이 그림책의 출판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요. 당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고, 교육 제도가..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임진왜란 前 "위난 대비" 충언하고 귀향… 書院 건립 운동 2023.04.06 (목)
경상북도와 안동시, 도산서원은 지난달 27일부터 오는 9일까지 '퇴계 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 행사'를 열고 있어요. 서울 경복궁에서 시작해 지금의 동호대교 근처인 두뭇개나루 터, 경기 여주 배개나루, 충북 충주 가.. 기획·구성=안영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89] '으스대다'와 '으시대다' 2023.04.05 (수)
*"그렇게 자신있다고 으시대더니, 성적이 이게 뭐니?"*"멋쟁이 높은 빌딩 으시대지만 유행 따라 사는 것도 제 멋이지만~."두 예문에서 똑같이 틀린 표현이 있어요. '으시대더니' '으시대지만'이 아니라 '으스대더니'..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