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조선 시대에도 있었던 '변호사'… 관직 못 나간 선비들이 몰래 소송 도왔대요 2025.01.07 (화)
조선 시대 때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들은 어떻게 했을까요? 옛날 평안도에 살았던 장화와 홍련 자매는 억울한 죽음을 당했지만 진실이 밝혀지지 못해 원혼이 됩니다. 그래서 원혼들은 바로 마을 원님을 찾아가 자기 죽음의 .. 이한 작가·'조선, 시험지옥에 빠지다' 저자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구멍 뚫린 우표'에 '빨간 우체통'까지… 근대 우편 시스템 이 회사서 만들었죠 2025.01.07 (화)
작년 12월 영국 정부는 자국의 우편 회사 '로열메일'의 모회사를 체코의 억만장자에게 매각했어요. 우리나라의 우체국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로열메일은 2013년 민영화됐고, 이번엔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인 소유가 되는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기후 변화 속도 늦추려 이산화탄소 모아 땅속에 가둔대요 2025.01.07 (화)
지난해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자주, 더 큰 규모로 일어나고 있어요. 여러 나라가 탄소 배출을 점진적으로 줄이기로 약속했지만, 그동..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양자역학이라는 과학적 지식 뛰어넘어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돌아보게 하죠 2025.01.06 (월)
슈뢰딩거의 고양희반-바지. 지음출판사 김영사가격 2만원평행우주, 시간여행, 인공지능 같은 소재를 다루며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성찰을 하게 하는 SF 단편 만화집이에요. 책은 에르빈 슈뢰딩거의 사고 실험을 의미.. 김미향 출판평론가·수필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겨울에 더 맛있어지는 채소… 지면에 납작 붙어 온도 유지한대요 2025.01.06 (월)
요즘 같은 추운 겨울이 제철인 채소가 있습니다. 바로 시금치인데요. 시금치는 중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인 두해살이풀입니다. 시금치는 기원전 6~7세기 전부터 고대 페르시아에서 재배되기 시작해 세계로 전파됐으며, 우리나..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86년 전 송년 음악회로 시작… 120만명 보는 클래식 '히트 상품' 됐죠 2025.01.06 (월)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이하 빈 필)의 신년 음악회는 이름처럼 매년 정초에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일가의 흥겨운 폴카와 왈츠, 행진곡을 들려주는 클래식 음악계의 '히트 상품'입니다. 세계 92국에서 120만명이 안방.. 김성현 문화전문기자
[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시베리아 고기압 영향 가장 큰 1월 초… '대한'보다 '소한'이 추운 이유래요 2025.01.02 (목)
새해가 되면서 겨울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1년 중 가장 추운 날은 언제일까요? 옛사람들은 오랜 경험과 삶의 지혜를 바탕으로 계절의 변화를 24개의 절기(節氣)로 나눴어요. 이 중 강추위를 상징하는 특별한 절기가 바로.. 장동언 기상청장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하루에 하나씩 고전 속 라틴어 읽으며 언어에 숨겨진 삶의 통찰력 배워요 2025.01.02 (목)
김태권 지음|출판사 유유|가격 2만원이 책의 저자는 원래 만화가로 유명합니다. 대학에서 미학을 전공한 후 독학으로 만화를 배웠다고 해요. 2003년 역사 교양 만화 '십자군 이야기'를 출간하고 만화가로서 본격적인 활..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정부 수립 후 제5공화국까지 공식 설날은 1월 1일이었죠 2025.01.02 (목)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그런데 '설날'은 오는 29일로 4주 뒤예요. 표준국어대사전은 설날을 '정월 초하룻날'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어? 정월 초하룻날이면 1월 1일, 그러니까 어제 아니었나요? 달력을 자세히..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76] '지새다'와 '지새우다' 2025.01.01 (수)
*"긴 밤 지새우고 풀잎마다 맺힌 진주보다 더 고운 아침이슬처럼~"*국민들은 온 새벽을 지새며 국회 상황을 지켜봤다.두 문장을 보세요.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말이 '지새다'와 '지새우다'로 다르게 쓰이고 있습니다. 무..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