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생활 속 경제] 삼성전자, 실적 크게 나빠져 주가 떨어졌어요
2023.02.02 (목)
-
Q.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이 줄줄이 어닝쇼크에 빠졌다는 기사를 봤어요. 어닝쇼크가 뭔가요?A. 어닝쇼크(earning shock)는 기업이 예상보다 훨씬 낮은 실적을 발표해서 투자자들을 충격에 빠뜨리는 상황을 말해요..
김나영 양정중 사회과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너무 다른 세 친구 오소리·곰·사슴… 각자 개성을 존중하며 살아가는 얘기
2023.02.02 (목)
-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곰다비드 칼리 지음|랄랄리몰라 그림|엄혜숙 옮김|출판사 나무말미|가격 1만3000원옛날 옛적 어느 숲속에 곰이랑 오소리, 그리고 말코손바닥사슴이 살았어요. 셋은 친구지만 너무나 달라요. 곰은..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몽골의 고려 침략 때 500개 만들어 적 물리치길 기원했죠
2023.02.02 (목)
-
국립전주박물관에서는 이달 26일까지 "깨달은 수행자, 나한(羅漢): 전라도와 강원도 나한의 만남" 특별전을 열고 있어요. '나한'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마음을 다해 수행하여, 마침내 아무 괴로움도 없는 최고의 경지..
기획·구성=안영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280] '시쳇말'과 '시셋말'
2023.02.01 (수)
-
* 대구 지역 한 복지 단체가 매주 토요일 점심 무료 급식을 제공하는데 (시쳇말, 시셋말)로 '방귀 좀 뀐다는 사람'은 배식 봉사에서 배제된다고 한다.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골라 보세요. 정답은 '시쳇말'입니다. 그..
류덕엽 교육학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안경 쓴 것처럼 눈 주변만 밝은색… 겨울잠 안 잔대요
2023.02.01 (수)
-
얼마 전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에서 선정한 2022년 야생 사진이 눈길을 끌었어요. 바싹 야윈 곰 한 마리가 어슬렁거리는 사진이었죠. 먹을 것을 찾아 에콰도르 수도 키토 부근의 마을까지 내려온 안경곰이었습니다.곰은 북..
정지섭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있는 세계사] 연해주에 한인 1만명 정착해 만든 독립운동 중심기지죠
2023.02.01 (수)
-
최근, 러시아 연해주에서 전개된 항일독립운동을 기리기 위해 세운 '신한촌(新韓村) 기념탑' 관련 뉴스가 전해졌어요. 20년 넘게 현지 당국에 정식 등록되지 않은 시설물인 것으로 확인됐고, 그렇다 보니 관리 부실 우려..
서민영 함현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생선 가시 싫어한 진시황 위해 살 으깨 경단처럼 뭉쳤대요
2023.01.31 (화)
-
최근 한 포털 사이트 설문조사에서 어묵이 군고구마·호떡보다 선호되는 겨울 간식으로 꼽혔어요. 어묵은 으깬 생선 살에 소금·전분·설탕을 섞은 후 가열해서 만드는 음식인데요. 보존과 조리가 쉽고 뜨끈한 국물과 함께 먹을..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 이야기] "과학과 인문학, 구분 말고 통합해야" 사회생물학의 대가 윌슨이 강조했죠
2023.01.31 (화)
-
창조적 사고를 하는 사람과 그러지 못하는 사람을 뚜렷이 구분 짓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창조적 사고를 가진 사람은 ①모호하게 정의된 문제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그것을 점진적으로 구조화하며 ②상당한 기간 그 문제들에 파..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추워서 몸이 '덜덜'… 열 내려고 근육이 일하는 거예요
2023.01.31 (화)
-
아무리 추운 날씨라도 빠르게 걷다 보면 몸이 따뜻해져요. 친한 친구의 팔짱을 끼고 걸으면 더욱 따뜻해지는 것 같아요. 바람이 쌩쌩 부는 날, 친구들이 모여 있는 교실에 들어서면 난로가 켜져 있지 않더라도 훈훈한 느낌..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무대 위 인문학] 60여년 한국서 생명 구한 美 의사, 한인 첫 洋의사도 키웠죠
2023.01.30 (월)
-
한국인 최초로 서양의학으로 환자를 진료한 양(洋)의사는 누구일까요? 박에스더(1876~1910)로 알려진 여의사입니다. 본명은 김점동이지만 남편 박유산의 성씨인 박을 따르고, 세례명 에스더를 붙인 이름이죠. 김점동이..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